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은 14일 “국민이 많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개인과 개인 간 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소셜미디어(SNS)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위축감을 가지게 된다면 민주주의의 큰 기둥 하나를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카카오톡으로 내란 선동 관련 가짜뉴스를 퍼트리면 고발하겠다는 더불어민주당식 언론 검열에 대한 의견을 달라’는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 위원장은 “카카오톡은 네이버 라인이나 다른 소통 수단과 마찬가지로 거의 전 국민이 소통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만약에 민주당에서 그런(검열) 생각이 없다면, 확실하게 ‘카카오톡 검열이라는 것은 없다’고 선언하면 국민이 조금 더 신뢰하지 않을까”라고 했다.
아울러 이 위원장은 이날 국회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최근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20·30세대가 늘고 있는 것을 아는가’라는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의 질문에 “보도를 보고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광화문 집회 현장에 나가는 20·30 세대를 극우라고 한다면 우리 국민의 상당수를 극우 세력으로 몰아가는 시도이고 굉장한 위험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만약에 그렇다면 ‘비이재명계들이 움직인다’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 ‘움직이면 지지자들을 다 모아서 죽여버리겠다’고 한 민주당 최 의원이 극좌가 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최 의원이 지난해 11월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1심 선고 후 언론 인터뷰에서 한 발언을 겨냥한 것이다.
그러자 최 의원은 신상발언을 신청해 “국무위원이 특정 의원의 질의 과정에서 특정 의원을 콕 집어서 비난하고 시빗거리로 삼는 걸 처음 봤다”고 반박했다.
최 의원은 “극우, 극좌를 함부로 쓰지 마시라”라며 “극우 파시즘, 나치즘 때문에 8000만 내지 9000만명이 죽었다. 스탈린 체제, 중국 문화대혁명, 그게 극좌다. 어디 제 이름 뒤에다가 극좌를 붙이는가”라고 항의했고, 야당 의석에서는 “거짓말 하는 (국무)위원은 혼쭐을 내야 한다”며 고성도 나왔다.
양측은 ’12·3 내란’이라는 표현을 놓고서도 충돌했다.
이 위원장이 지난달 23일 방통위 기자실에서 ’12·3 내란이라는 표현은 잘못됐다’는 취지로 발언한 바 있다.
그는 “아직 법적 절차를 거치고 있어서 ’12·3 계엄’이라고 표현해야 정확하지, 12·3 내란이라고 표현한 것은 정확하지 않다고 언론 선배로서 이야기했다”고 답했다. 이에 최 의원은 “보도지침을 내리고 갑질한 것”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