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31일 더불어민주당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요구에 대해 여야정 협의회를 통해 추진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이 대표가 그간 강조해온 ‘전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예산은 추경에 담지 않아도 된다고 밝힌 데 대해선 환영하면서도, “정국 전환을 위한 꼼수가 아니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정협의체 실무 협의를 마친 후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뉴스1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국민의힘은 추경 요인이 있을 때 여야정 협의를 통해 추진하자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이 추경에 무작정 반대한다는 취지의 입장문을 민주당이 낸 데 대해 “허위사실”이라며 비판하면서다.

김 의장은 “국가 경제 고민 없이 모든 협상 의제의 전제조건으로 추경해야 한다고 매달리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이 추경을 반대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라며 “최소한 추경을 입에 올리려면 작년 연말 예산안 일방적 삭감 강행 처리에 대한 대국민 사과가 우선”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민주당의 예산안 단독 강행 처리를 비판했다. 김 의장은 “지난해 12월 민주당의 예산안 단독 강행 처리는 이 대표가 주장하는 지역사랑 상품권 예산 1조원 증액을 정부와 국민의힘이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이에 당정에 보복하듯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고 재해대책 위해 마련해야 하는 예비비를 2.4조원 일방적으로 감액하고 민생 수사 예산마저 전액 삭감했다. 이때부터 민주당은 1월 추경을 생각한 것 같다”고 직격했다.

조기 추경을 요구해온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정부·여당이 반대하는 ‘전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을 위한 예산은 추경에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효율적인 민생지원 정책이 나오면 (민생회복지원금 예산이 포함되지 않아도) 상관이 없으니 추경을 편성해달라”고 했다.

이에 대해 신동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비대위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전향적으로 나오는 것을 환영한다”며 “필요하면 여야정 협의회가 있으니 논의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일시적으로 정국 전환을 위한 꼼수가 아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신 대변인은 “민주당이 주장하는 추경의 대부분은 지역화폐 예산을 확보하자는 것이었는데 이제 와서 민생을 돌보기 위해 추경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에 대해 ‘고맙다. 우리도 검토해 보겠다’라고 할 수는 없다”며 “정치 공세식으로, 저희와 아무 협의 없이 국민에게 나라 곳간을 풀어서 인심 쓰듯이 추경하자는 것은 결단코 동의하기 어렵다. 조금 더 진정성 있게 대화에 임하길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