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에 연락관 파견을 요청한 곳이 국군심리전단이라는 주장에 대해 합동참모본부(합참)가 사실이 아니라고 13일 밝혔다.

합참에 따르면 방통위에 연락관 파견을 요청한 번호 02-748-XXXX의 전화기는 합참 지하 작전회의실에 설치돼 있다. 이 회의실은 지난 3일 계엄사령부가 설치됐던 장소로, 계엄사령부가 이 전화기를 이용해 각 정부 부처에 연락했다는 게 합참의 설명이다. 합참 관계자는 이날 “심리전단이 (방통위에) 연락한 것은 없었다”고 말했다.

계엄사령관을 지낸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지난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 답하고 있다. 두번째줄 왼쪽부터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육군특전사령관. /뉴스1

앞서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방통위와 군 관계자로부터 확인한 바를 토대로 비상계엄 상황에서 방통위에 연락관 파견요청 관련 전화가 3통 왔고 그중 1곳은 국군심리전단의 번호였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아울러 합참은 사이버작전사령부가 비상계엄 준비를 위한 훈련을 했다는 민주당의 주장에도 선을 그었다. 사이버사의 작전 대부분은 기밀인데, 불법 사항에 대해서는 훈련 계획조차 없었고, 확인된 사항도 없다는 게 합참의 설명이다.

추미애 민주당 의원은 이날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이 조원희 사이버작전사령관과 통화한 점과 지난 8월 을지연습(UFS) 훈련 당시 새로운 사이버 훈련을 실시했다는 점 등을 근거로 사이버사가 비상계엄에 개입했다고 주장했다.

사이버사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민주당의 주장을 반박했다. 사이버사에 따르면 여 사령관은 지난 3일 오전 9시쯤 비리 간부 관련 내용을 통보하며 수사 협조를 당부하는 전화를 걸었다. 조 사령관은 이 내용을 국가수사본부 조사에서 진술했다고 한다.

사이버사 관계자는 “지난 8월 UFS 연습간 예하 부대 자체 훈련으로 전시 임무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상해 전쟁 시뮬레이션(워게임)을 실시했다. 실제 훈련은 없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