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18일 미국 뉴욕에서 유엔총회를 계기로 일본과 열기로 합의한 한일정상회담에 대해 “변동이 없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일본 산케이신문은 일본 정부가 한일정상회담을 개최하지 않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고 보도했는데 이를 부인한 것이다.
연합뉴스는 이날 오전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유엔총회 때 열기로 한 한일정상회담과 관련된 상황에 변동이 있다고 듣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또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의 회담 시간과 장소는 조율을 마무리한 상황이라고도 전했다.
앞서 대통령실은 오는 20∼21일 열리는 유엔총회를 계기로 윤 대통령과 후미오 총리가 정상회담 개최를 합의했으며 구체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지난 15일 발표했다.
이날 일본 산케이 신문은 일본 외무성이 이 같은 발표를 두고 “신뢰 관계와 관련된다”며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발표는 삼가달라”며 한국 측에 항의했다고 보도했다. 마이니치 신문도 “한국 정부가 개최한다고 발표한 한일정상회담은 일본 측이 신중한 자세를 굽히지 않아 (정상회담) 실현이 불투명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 내에서 ‘사실무근’이라는 반발이 나오고 있다며 한일 정상 간 접촉이 이뤄지더라도 서서 이야기하는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전했다.
다만 두 언론 모두 한일 정상이 ‘풀어사이드’ 형식으로 만날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풀어사이드는 다자회의를 계기로 공식 회담장 밖에서 격식을 따지지 않고 하는 약식 회담을 뜻한다.
앞서 지난 16일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대통령실의 한일정상회담 개최 합의 발표에 대해 “(기시다) 총리 뉴욕 방문의 구체적인 일정은 현시점에서는 전혀 결정되지 않았다”며 사실관계의 명확한 확인을 거부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