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가 28일 이준석 대표에게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를 내린 것에 대한 당내 비판에 입장문을 내고 반박했다. 이 대표 중징계 20일 만이다.
윤리위는 이날 입장문에서 “국민의힘 당원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나 윤리위원회의 직무 활동에 대해 개인적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며 “이는 정치적 표현의 자유로 마땅히 보장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윤리위의 이 대표 중징계 결정을 비판한 데 대해 ‘구태정치’라고 주장했다. “윤리위 징계 결정을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소위 윤핵관(윤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과 연계 시키는 악의적 정치적 프레임 씌우기는 표현의 자유가 아닌 구태정치 행위”라는 것이다.
이어 윤리위는 “‘조폭과 같다’, ‘당권 쿠데타 세력’, ‘토벌되어야 할 반란군’, ‘극렬 유튜브 농간에 넘어갔다’, ‘쳐낸다는 소문이 돌았다’는 등의 조악한 언어로 윤리위원회의 결정을 평가하는 것은, 윤리위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윤리위의 입장은 이 대표 징계가 부당하다면서 윤리위를 비판한 당내 목소리를 싸잡아 겨냥한 것이다. 앞서 유승민 전 의원은 “지금 윤리위원회나 윤핵관들은 조폭과 같다”고 했다. 김용태 청년최고위원은 “윤리위가 당원과 국민이 뽑은 당권에 대해 쿠데타를 일으켰다”며 “반란군은 토벌해야 한다”고 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미 (지난해) 연말부터 윤핵관들이 윤리위를 통해서 징계를 하고 당대표를 궐위시킬 거라는 소문이 돌았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태경 의원은 “당의 명예를 실추시킨 것은 극렬 유튜버의 농간에 발맞춘 윤리위”라고 했다.
윤리위는 이 대표 징계에 대해 “정치적 판단이 아니라 국민적 눈높이와 사회적 통념을 가장 우선시했다”며 “직무 활동의 독립성과 공정성에 대한 확신이 있었기 때문에 여야 정당사에서 사례를 찾아 볼 수 없는 징계사유서 공개 결정이 있었다”라고 주장했다.
윤리위는 이 대표 징계 열흘 후 ‘KT 채용 청탁’ 혐의로 기소돼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김성태 전 의원, ‘강원랜드 채용 비리’ 혐의로 기소돼 징역 1년을 받은 염동열 전 의원에게 ‘당원권 정지 3개월’ 징계를 내렸다. 반면 이준석 대표의 ‘성접대 및 증거인멸 교사’ 의혹은 경찰 수사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당원권 정지 6개월’ 중징계를 내려서, 형평성을 두고 당 안팎에서 논란이 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