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19일 문재인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온 전남 신안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 사업을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인수위가 지난 16일 광주·전남 지역 현장 방문에서 신안 SK E&S 발전단지, 영광 두산중공업 터빈 실증단지, 영광 풍력 테스트베드 등을 시찰하고 간담회를 통해 지방자치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했는데 이러한 결론이 났다는 것이다.

신안 해당풍력발전단지 건설 사업은 48조원을 투입해 해상풍력발전기 1000기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2월 문재인 대통령이 투자협약식에도 직접 참석하기도 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완전히 가슴이 뛰는 프로젝트”라면서 ‘해상풍력발전기 1000기가 들어서려면 (가로·세로) 25㎞씩의 범외가 되어야 한다’는 김영록 전남지사의 발언에 “그것도 1004개로 맞춰야겠다”고 했다. 신안에 1004개의 섬이 있다며 ‘천사의 섬’이라고 알려진 것을 가리킨 발언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2월 5일 전남 신안 임자대교에서 열린 '세계 최대 해상풍력단지 48조 투자협약식'에 참석했다. /청와대 제공

장능인 지균특위 대변인은 이날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브리핑을 열고 “현장 방문에서 주로 청취한 현안은 신안 해상풍력발전단지에 관한 것이었다”면서 “신안군이나 전라남도 등에서는 8.2기가와트(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만들면 어떻겠냐는 의견이 있었다”고 했다. 장 대변인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채권형 조례를 근거로 신안군 주민들에게 30% 지분을 주는 방법 등을 포함해 민간자금 46조원, 모두 48조5000억원 규모 투자가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전했다.

지균특위 위원들은 “보통 원전 1개의 설비용량이 1GW라면 (예정된 해상풍력발전단지는) 원전 8개와 맞먹는 규모”라면서 “실제 설비량과 발전량이 다른 점을 고려해 경제성을 신중하게 따져봐야 한다”는 의견을 전했다고 장 대변인은 전했다. 위원들은 “인수위가 새 정부의 에너지 믹스 기조 변화에 맞춰 해상풍력단지 (조성) 속도와 수위를 조절하는 등 신중하게 재검토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는 것이다.

장 대변인은 브리핑을 마치고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2030년까지 ‘해상 풍력 발전 비중 100배 확대’를 에고했는데 인수위에서는 해상 풍력 발전 비중을 줄이겠다는 것이냐’는 질문에 “재검토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8.2GW 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해당 지역에서 다 소모할 수가 없어 결국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으로 흘려보내야 할 것”이라며 “해상풍력으로 만드는 전기는 평균 단가가 비싸므로 전국 평균 전기요금이 올라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생산되는 전기를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에 대한 준비를 하고 시스템을 갖춰 놓고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지금은 계획이 너무 급한 나머지 반대로 가고 있는 것”이라면서 “단순히 급하게 날짜를 잡아 100배 늘린다고 할 게 아니라 전체적인 에너지 믹스, 원자력, 화력, 수력을 어느 정도로 할지 꼼꼼하게 계획을 세워 신중하게 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장능인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 대변인이 지난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브리핑룸에서 추가인선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