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재 실시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부스터샷)에 이어, ‘4차 접종’ 가능성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29일 나타났다. 최근 이스라엘은 의료진을 대상으로 백신 4차 접종 안전성과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을 시작했다.

이스라엘 최대 의료기관인 셰바 메디컬 센터의 자콥 라비 교수가 27일(현지시각) 화이자 백신 4차 접종 임상시험에 참여하고 있다. 텔아비브 인근 라마트 간에 있는 셰바 메디컬 센터는 이날 자체 의료진을 대상으로 4차 접종 임상 시험에 나섰다. /연합뉴스

민주당과 정부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코로나19 비상대책본부 2차 당정협의’를 개최하고,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거리두기 연장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날 당정협의에서 정부는 현재 백신이 9000만회분 구비돼 있으나, 4차 접종 가능성에 대비해 현재 3조2000억원보다 많은 백신 구매 예산을 확보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신현영 원내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또 의료기관 치료 병상을 1만9000개에서 2만5000개로 늘리고, 60만명분 경구용 치료제 예산(6000억원)도 40만명분 추가 구매를 위해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했다.

민주당은 방역 지원을 위해 더 필요한 예산은 내년도 1분기 예산을 활용하고, 추가로 필요하면 추경을 해서라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윤호중 원내대표는 모두발언에서 통해 “내년도 예산에서 감염병 대응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서 쓸 수 있는 가용 재원을 최대한 동원해 조기 집행을 통해서라도 1분기 중 코로나 감염병의 기나긴 터널을 벗어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며 “특히 필요한 예산이 더 있다면 이미 통과된 예산 외에도 추경을 통해서라도 요청을 해달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코로나19 긴급당정협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재부는 업무보고를 통해 예산 확대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추경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다고 신 원내대변인이 전했다. 민주당은 내년 1월 초 정부와 3차 당정협의를 갖고 후속 조치와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당정은 이날 청소년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 의무화와 적용 시기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민주당은 학부모와 학원업계의 반대 목소리를 전하고, 의무화할 경우 백신 접종 이상반응에 대한 충분한 보상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방역패스의 필요성을 권고하거나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를 요청하고, 현재 2월 1일로 예정된 적용 시점에 대해 계도기간이 더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달라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