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6일 더불어민주당 유력 대권주자 이재명 지사의 경기 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 의혹과 비슷한 일이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임기 때에도 벌어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도대체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나, 민주당 단체장들의 이른바 ‘종특’(종족 특성)이냐”고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열린 2021 서울세계도시문화축제 온라인 개막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은 공영개발을 빌미로 소중한 성남 시민의 재산을 고스란히 기획부동산 업자와 브로커의 주머니에 꽂아준 ‘비리의 교과서’, ‘부패의 전설’이라고 할 만 하다”며 이같이 적었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대장동 개발사업에 대해 성남토지주택공사가 50%+1주 지분으로 참여한 시행사 ‘성남의뜰’이 원주민 토지를 평당 250만원에 강제 수용했다고 전했다. 또 화천대유가 가져간 5개 블록의 평당 분양가는 2500만원으로 10배 수준이라고 했다. 시공가 는 평당 1400만원으로, 화천대유는 평당 850만원의 수익을 거뒀다는 게 박 의원 분석이다.

오 시장은 “제가 아는 공영개발은 서민을 위해 싸게 좋은 집을 공급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제가 시장으로 있던 10년 전,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토지를 싸게 산 만큼 싹 분양했다. 문정지구, 발산지구 모두 그랬다”며 “2010년 발산지구는 3.3㎡당 790만원에 분양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100㎡(약 30평) 기준 분양가가 2억4000만원이 안 되는 가격이었다”고 했다.

반면 후임자였던 박 전 시장은 그렇지 않았다고 했다. 오 시장은 “제가 싸게 확보해 둔 마곡지구를 박 전 시장 임기 당시 분양할 때 길 바로 길 건너 발산지구에 비해 두 배인 3.3㎡(1평)당 약 1570만원을 받기도 했다”고 전했다.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고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영결식에서 이재명 경기지사와 김경수 경남지사가 헌화를 하고 있다. 2020. 7. 13 사진공동취재단

이어 오 시장은 대장동 개발사업에 대해 “공공이 참여했다는 명분으로 헐값에 토지를 수용하고, 그렇게 조성된 택지는 민간 매각으로 분양가상한제를 피해 고가에 아파트를 분양해 사업 시행자에게 떼돈을 벌게 해주는 기술”이라고 정리했다.

그러면서 “공공이 50% 이상 출자하는 법인은 강제 수용권을 가질 수 있다는 조항을 이용하려고 성남도시개발공사를 설립하고, 대장동 사업에 ‘50%+1주’로 참여케 하는 절묘한 작전은 도대체 누가 결정한 것이냐”며 “당시 (이재명 성남)시장 정도가 아니면 가능할까”라고 물었다.

오 시장은 이 지사가 구속된 대장동 개발사업 핵심 인물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측근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도 비판했다. 그는 “실제로 제 전임인 박 전 시장 재임 시에도 유 전 본부장 정도에 해당하는 직위에 시민단체 출신 인사들이 임명된 적이 있다”며 “비서실 공무원이 받는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공기업 요직을 선호하기도 한다”고 했다.

앞서 이 지사는 유 전 본부장의 ‘측근 여부’에 대해 “비서실에서 지근거리에서 보좌를 하든지 그래야 하는 것 아니냐”며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