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2·3 비상계엄 당일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에서 계엄 성공을 전제로 국정 운영을 위한 돈줄 마련을 논의했다는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면서 반박했다.
8일 한은과 금융위, 금감원이 공동으로 배포한 보도참고자료에 따르면 F4회의 멤버인 이 총재와 김 위원장, 이 원장은 작년 12월 3일 밤 긴급하게 열린 회의에서 비상계엄 선포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며 발생한 외환시장 불안에 대한 긴급안정 방안과 다음날 주식시장 개장 여부 등을 논의했다.
이후 한은·금융위·금감원은 “시장 불안 요인에 대응해 모든 가능한 금융·외환시장 안정수단을 총동원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시장 안정 목적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각 기관은 이를 시행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추가 시장안정 조치를 마련하여 오전 7시에 다시 F4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 총재와 김 위원장, 이 원장은 “F4 회의에서 비상계엄 관련 쪽지 내용을 논의했다는 등의 주장은 전혀 사실과 다르며, F4 관계 기관들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며 금융·경제 안정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는 비상계엄 선포 직후 열린 F4 회의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관련 쪽지 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논의 자리’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에 여야는 7일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 전체회의에서 F4 회의 참가자인 최상목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 총재, 김 위원장, 이 원장을 증인으로 채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