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연내 국내 원전 업계에 1306억원 규모의 긴급 일감을 공급한다. 또 원전 업체가 다수 모여 있는 경남 창원을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로 지정해 연구개발(R&D)·세제 등의 혜택을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창양 산업부 장관이 10일 창원에서 개최된 ‘원전업계 간담회’에 참석해 현장에서 느끼는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난 6월 발표한 ‘원전산업 협력업체 지원대책’의 진행 상황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이 장관은 “올해 중 1306억원 규모의 긴급 일감을 공급할 예정이고, 862억원의 일감은 이미 발주를 완료했다”며 “앞으로 절차를 더욱 신속히 진행해 10월까지 대부분 일감 발주를 마치겠다”고 했다. 그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와 관련해서는 “지난달 환경영향평가를 이미 개시했다”며 “2024년 착공을 목표로 효율적인 절차 운영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 장관은 지난달 원전 기업을 대상으로 10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과 특례보증을 신설해 지원하기 시작했고, 현재 60여 개 기업의 신청에 관한 심사를 진행 중이라고도 했다. 또 원전 중소기업 만을 대상으로 215억원 규모의 정책자금 금융을 새로 만들어 이달 중 신청 받을 예정이라는 뜻도 전했다.
이 장관은 “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수력원자력 등을 중심으로 올해 6700억원 규모의 R&D 사업도 추진할 것”이라며 “지금까지 약 3500억원을 집행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창원을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로 지정되면 R&D와 지방투자보조금, 세제 등의 혜택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 장관은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과 함께 원전 업체가 참여하는 약 1조원 규모의 발전 기자재 일감도 공급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장관은 원전 수출과 관련해서는 “노형·기자재 등 수출 가능성을 최대한 높이도록 정책 역량을 결집하고, ‘원전수출전략추진단’도 다음주부터 본격 가동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한수원-두산에너빌리티-원전기자재협력업체가 원전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이들은 이번 협약을 통해 새로운 일감 창출, 공동 기술 개발, 인력 교류, 수출 성과 창출 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