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탈원전을 앞세운 문재인 정권 5년 동안 무너진 우리나라 원전 산업 경쟁력 회복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맞춤형 원전 수주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민·관 합동 컨트롤 타워인 ‘원전수출전략추진단‘ 설립을 통해서다.

한국이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한 바라카 원전 2호기. /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정안 행정예고를 6월 22일부터 7월 12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윤 정부가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을 설치하는 건 원전 시장이 대규모 금융 조달, 방산·경협 등 다양한 분야 패키징이 가능한 국가 간 협력사업의 성격을 지녔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발주국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고 차별화된 수출 전략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을 설치해 원전 및 관련 산업의 해외 진출을 종합적·체계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라고 전했다.

원전수출전략추진단 단장은 산업부 장관이 맡는다. 방산, 건설·인프라, 정보기술(IT), 금융 조달 등 다양한 협력 패키지 사업을 논의할 수 있는 관계부처와 전력·금융 공기업, 민간 전문가 등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앞서 산업부는 이달 8일 관계부처,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 원전 관련 공기업, 금융기관, 원전수출산업협회 등으로 구성된 원전수출전략추진 준비단 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박동일 산업부 원전산업정책관은 “행정예고 기간 중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제정안을 확정할 것”이라며 “추진단이 출범할 때까지는 준비단을 가동하고, 추진단 가동과 동시에 본격적인 원전 수주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이번 제정안에 의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7월 12일까지 산업부 원전수출진흥과로 의견을 제출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