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도시 전면 봉쇄에 나서고 있다. 최대 교역국의 잇따른 봉쇄 조치에 한국 기업들은 물류 차질 등을 우려한다. 정부는 우리 기업의 정상 조업이 가능하도록 공급망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제22차 산업자원안보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어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과 최근 상하이시 봉쇄 조치에 따른 국내 공급망 영향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자국 내 다수 지역에서 이달 중순부터 확진자 급증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린성 창춘시, 산둥성 웨이하이시, 광둥성 선전시 등에 이어 지난 27일에는 상하이시 전면 봉쇄를 발표했다.
TF 회의에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은 중국의 봉쇄 조치로 물류, 출·퇴근, 부품 수급 등의 애로는 발생했으나 현재까지 국내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한국 기업이 밀집한 웨이하이시와 선전시 등은 확진자 감소로 봉쇄가 해제됐고, 상하이시의 경우 진출 기업 대다수가 영업·서비스 법인이라는 이유에서다.
또 상하이항 등 주요 항만의 방역이 강화되긴 했으나, 선박 입·출항이나 하역 등은 정상 운영 중이라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다만 봉쇄 조치가 길어지면 한국 기업 피해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참석자들은 하역 인력 부족, 화물트럭 진·출입 애로, 부두 저장 한계 도달, 선사 운항 감축 등의 물류 차질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회의를 주재한 박진규 산업부 1차관은 “한국 기업의 정상 조업이 가능하도록 현지 공관, 코트라(KOTRA) 무역관, 무역협회 지부, 한국상회 간 유기적 협업 체계를 가동하겠다”며 “소재·부품 수급 대응 지원센터를 통해 기업의 수급 애로를 적시에 발굴·지원하는 등 공급망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