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하이의 SMIC 본사. /블룸버그

중국 반도체 산업이 미국의 고강도 제재와 경기 침체 우려에도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자국 반도체 산업을 키우려는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계속되면서 올해 상반기 중국 반도체 산업 매출은 전년 대비 20% 넘게 늘었다. 전 세계 반도체 산업 매출이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는 모습과 대비된다.

8일 중국 경제매체 이카이 부설 연구소에 따르면 중국에 상장된 102개 반도체 업체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전년 대비 22% 늘어난 2조위안(약 396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 세계 상위 10개 반도체 업체의 매출 성장률(17%)와 비교해 5%포인트 높은 수치다.

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업체인 SMIC가 올해 상반기 전년 대비 52.8% 늘어난 245억위안(약 4조85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면서 성장을 이끌었다. 이카이 연구소는 “주요 7개 반도체 업체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넘게 늘어나는 등 중국 반도체 성장은 계속되고 있다”라고 했다.

그래픽=손민균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산업에 사용하는 반도체 개발 업체들이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내셔널칩 사이언스앤테크놀로지가 대표적으로, 이 업체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전년 대비 20배 늘었다. 화웨이가 미국 제재로 부진한 상황에서 중소형 팹리스(반도체 설계회사)가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반도체 업체들이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는 배경에는 내수 시장이 있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반도체를 소비하고 있지만, 반도체 자급률은 2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 70%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세운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중국 반도체 산업은 장비 반입을 중심으로 한 미국의 제재가 계속되면서 세정(웨이퍼를 씻어내고)과 식각(불필요한 부분을 깎는) 등 상대적으로 기술 난도가 낮은 반도체 장비 내재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중국 대표 반도체 세정·식각 장비업체인 북방화창(Naura Technology Group), 에이맥(Advanced Micro-Fabrication), 성메이상하이(ACM Research)의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넘게 늘었다.

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SMIC 공장 내부 모습. /SMIC 제공

반도체 자립을 향한 중국의 반도체 굴기(崛起)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반도체산업협회는 보고서에서 “20%에 못 미치는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지만 절대 안심해서는 안 된다”라며 “불과 5년 전까지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이 3.8%였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라고 했다.

전문가들도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중국 정부의 막대한 보조금과 조달 특혜가 계속되면서 중국의 반도체 시장 점유율이 한국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는 “중국과 한국의 반도체 시장 점유율 차이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라며 “선제적인 투자로 기술력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