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계 미국인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자사의 차세대 반도체 칩을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가 만들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로이터에 따르면 황 CEO는 대만에서 열린 기술 행사에 참석해 “다변화를 위해 여러 공급망을 찾고 있다”면서도 “차세대 칩 역시 TSMC가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TSMC는 엔비디아 등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들이 설계한 반도체 칩을 제작한다.

최근 대만을 둘러싸고 미중 갈등이 격화되며 지정학적 우려가 커졌지만, 그는 “공급망 논의를 위해 대만에 있었을 때 완벽하게 안전하다고 느꼈다”고 언급했다. TSMC에 대해서는 “엄청난 역량과 놀라운 민첩성을 갖춘 세계적인 기업”이라며 “우리가 높은 수준을 요구해도 빠른 시간 내 이를 충족한 제품들을 보여줄 것이라고 전적으로 믿는다”고 극찬했다.

황은 그러면서도 “다양한 지역에서 다변화하는 전략이 완벽한 전략”이라고 말해 다른 업체들과의 협력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았다. “TSMC는 엔비디아의 다양성 전략의 일부”라고도 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지난달 31일 대만 매체 타이베이타임스 인터뷰에서 “삼성과도 생산할 수 있고 인텔과도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 인텔로부터 차세대 반도체 공정 테스트 결과를 받았는데 좋아 보였다”며 “인텔과의 협력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전날 미국의 대중 반도체 규제에 대해 “이를 준수하겠지만 중국은 자국 기업을 육성할 것”이라며 “중국은 반도체 자립 능력이 충분하다”고 경고했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민하게 움직여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다만 외신들이 보도한 방중 계획에 대해서는 “아직 정하지 않았다”며 말을 아꼈다.

황은 2일 TSMC와 애플 공급업체인 대만 폭스콘의 경영진들을 만날 예정이다. 폭스콘은 아이폰을 비롯해 AI 칩을 사용하는 애플의 전자 기기들을 제작한다.

엔비디아는 퀄컴, AMD, 브로드컴, 미디어텍 등과 함께 반도체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 기업이다. 주력 제품은 게임기와 가상자산 채굴, 인공지능(AI) 등에 쓰이는 그래픽 저장장치(GPU)다. 중국의 반도체 전문가들도 AI 반도체 분야에서 엔비디아를 대체하기 어렵다고 시인할 만큼 독보적인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 같은 이유로 AI 전쟁에 뛰어든 기업들은 저마다 엔비디아와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도 예외는 아니다. 머스크는 지난 4월 17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진실(Truth) GPT라는 이름으로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최대의 진실 추구 AI를 시작할 것”이라며 AI 개발을 공식화했다. 머스크는 이를 위해 엔비디아의 GPU 수천개를 구입하는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