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에 따른 살림살이 부담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에서 지출 비중이 높은 식료품의 물가 상승률은 전체 물가 상승률의 두 배에 달했다.

2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10년간(2014∼2024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최빈층인 소득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이 23.2%로, 고소득층인 5분위(20.6%)보다 2.6%포인트(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울 시내의 한 마트 장바구니 카트가 놓여있다. 2025.3.30/연합뉴스

체감물가는 소비자들의 매년 실제 소비 패턴을 반영해 산정하는 물가다. 통계청이 집계하는 일반 소비자물가는 ‘기준연도(2020년)’의 고정된 지출 비중이 기준이지만, 체감물가는 ‘해당연도’ 지출 비중을 바탕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경기 변동 등에 따른 소비 패턴 변화를 바로 반영할 수 있다.

10년간 소득분위별로 살펴보면 ▲1분위 23.2%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5분위 20.6% 순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

저소득층의 부담을 높인 주요 요인은 식료품비와 난방비 등 주거 관련 비용 상승이었다. 보통 저소득층일수록 처분가능소득 대비 식비와 주거비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

최근 10년간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은 ▲식료품ㆍ비주류 음료(20.9%) ▲주택·수도·광열(20.0%) ▲보건(12.6%) 등 생존과 직결된 영역에 집중돼 있었다. 이 기간 식료품 물가는 41.9% 상승해 전체 물가상승률 21.2%의 약 2배에 달했다.

고소득층인 소득 5분위는 ▲교통(13.0%) ▲교육(10.5%) ▲오락ㆍ문화(9.0%)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지난 10년간 해당 품목의 물가 상승률은 각각 5.3%, 10.6%, 9.2%로 전체 물가상승률을 크게 밑돌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며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유통 규제를 개선하는 한편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