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신용평가사 S&P는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005490)), 포스코와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고 6일 밝혔다. S&P는 세 회사 모두 실적이 부진하고 수익성이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S&P는 이날 보고서에서 포스코홀딩스에 대해 “수익성이 낮은 수준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다. S&P는 그룹의 핵심 사업인 철강 부문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국발 공급과잉이 지속하는 가운데 수요가 부진하다고 분석했다. 또 2차전지 소재 사업이 적자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S&P는 또 대규모 설비투자도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S&P에 따르면 2022년 이전에는 2조5000억∼3조5000억원 수준이던 연간 설비투자 규모는 2023년 7조1000억원, 2024년 8조4000억원으로 뛰었다. S&P는 올해 회사가 7조5000억원을 설비투자에 쓸 것으로 추산했다.
더불어 S&P는 “미국의 철강 관세 및 향후 수요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며 “대미 직접 수출 비중은 전체 판매량 대비 한 자릿수 초반이지만, 해당 수출분의 마진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멕시코 등 제3국을 통한 우회 수출 물량도 존재한다”며 “최악의 경우 매출 감소 폭은 한 자릿수 초중반대, 영업이익 감소 폭은 한 자릿수 중후반대 수준이 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S&P는 “포스코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부정적 등급 전망은 양사의 그룹 내 전략적 중요도와 모기업인 포스코홀딩스의 등급 전망을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S&P는 “포스코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신용지표가 크게 악화할 가능성은 작다고 판단한다”며 “철강 부문의 실적 부진이 포스코와 포스코인터내셔널 모두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양사의 자체 신용도(SACP)에 대한 하방 압력은 높지 않아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