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 청사. /뉴스1

한국의 지난해 국가 청렴도(CPI·부패 인식 지수) 순위가 세계 180국 가운데 30위를 기록한 것으로 11일 나타났다. 국제 투명성 기구(TI·부패 감시 단체)의 국가 청렴도 조사 결과를 이날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했다. 국제 투명성 기구는 1995년부터 매년 세계 각국의 공공·정치 부문 부패 수준을 조사해 국가 청렴도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의 지난해 국가 청렴도 순위는 30위, 점수는 64점으로 각각 역대 최고다. 앞서 한국은 2020년 33위(61점), 2021년 32위(62점), 2022년 31위(63점), 2023년 32위(64점)를 각각 기록했다. 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만 비교하면 한국은 지난해 21위로 전년보다 2위 올랐다.

이에 대해 권익위는 “반(反)부패 관련 법과 제도를 운영하고 공익신고자 보호를 강화하며, 지방의회 실태를 점검한 결과 순위와 점수가 올랐다”고 설명했다.

권익위는 국가 청렴도를 개선하기 위해 고강도 부패 점검을 진행할 예정이다. 하급 공무원이 간부에게 사비로 식사를 대접하는 ‘간부 모시는 날’ 등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할 방침이다. 또 공직자 행동 강령에 ‘가상자산 거래 시 직무 관련 정보 이용 금지’를 명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