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안심·안전 시스템 ‘스마트스테이션’을 서울 지하철 1∼8호선 모든 역으로 확대한다고 30일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3호선 옥수역에서 서울지하철의 승강장 자동안전발판, 스마트스테이션 등 지하철 안전시스템 관련 설명을 청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와 서울시는 현재 189개 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스마트스테이션을 내년까지 1∼8호선 276개 모든 역에 도입하기로 했다.

스마트스테이션은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지하철 통합 관리 시스템이다. 3D(3차원)맵·IoT(사물인터넷)센서·지능형 CC(폐쇄회로)TV 등을 활용해 분산된 시설물 관리와 서비스 등 역사 운영 업무를 통합 관리한다.

역 내부를 3차원 지도로 볼 수 있어 환자·범죄 발생 등 실시간으로 위험 상황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지능형 CCTV는 고속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AI) 학습으로 위험지역 침입 탐지·에스컬레이터 쓰러짐 등을 자동 인식해 돌발 상황을 즉각 알려준다.

실제로 스마트스테이션이 구축된 2·8호선 역사를 분석한 결과 돌발 상황 대응 시간 72.7%(11분→3분), 역사 순찰·순회 시간이 64.3%(28분→10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는 지하철 1∼8호선에 설치된 2만584대의 CCTV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지하철 승하차 시 발빠짐 사고를 막는 자동 안전발판 설치도 확대한다. 1~8호선 589개소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승강장 구조적 이유로 자동안전발판을 설치하지 못하는 66개역 413개소에는 바닥에서 빛을 표출해 발 빠짐 위험을 알리는 ‘승강장 연단 경고등’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공사는 지하철 보안관에게 ‘특별사법경찰권’을 부여하기 위한 법 개정 추진 작업도 지속하기로 했다. 현재 사법권이 없는 지하철 보안관은 현행범과 맞닥뜨리더라도 시민과 다름없다. 경찰이 도착할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어 위험물 압수, 체포에 어려움이 있다고 공사는 설명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하루 700만 이용 시민의 일상을 지켜드리기 위해 안전 분야만큼은 어떤 양보나 타협 없이 집중 투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오전 10시 3호선 옥수역을 찾아 스마트 스테이션과 자동 안전 발판의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직원들을 격려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