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를 개찰구에 갖다 대지 않고도 지나가기만 하면 요금이 자동으로 결제되는 ‘비접촉 대중교통 결제(태그리스)’ 시스템이 내년 서울 지하철 1~8호선과 시내버스에 적용된다.
서울시는 29일 태그리스 시스템 상용화와 수도권 확대를 위해 시 차원의 기술 표준을 수립한다고 밝혔다. 서울시 태그리스 기술표준화 협의체에는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티머니 등으로 구성됐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 우이신설선에서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태그리스 서비스를 선보였다. 서울교통공사는 현재 비접촉식 승하차 측위 기술과 통신사 기지국 연동 기반 태그리스 측위 기술에 대해 단계별 실증사업을 추진 중이다. 내년 하반기에 서울지하철 1~8호선에 태그리스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시내버스에서도 버스 태그리스 승하차 테스트 후 시스템 고도화 사업이 진행 중이다. 시는 지난해 11월 시내버스 1개 노선에 실증테스트를 끝낸 후 내년 상반기부터 시내버스 단계적 도입을 검토 중이다.
서울시가 협의체를 구성한 것은 현재 각 개발사가 독자적으로 태그리스 기술 상용화와 실증을 진행하고 있어서다. 우이신설선에 적용된 태그리스 기술과 경기버스에 적용된 태그리스 기술이 호환되지 않아 태그리스로 승하차하면 환승 할인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서울시는 이번 실무 협의체 구성을 시작으로 통합용 앱 개발 방향, 자체 인증 기준 및 품질 기준 등 시 차원의 기술 표준을 정립한다. 이어 2단계로 수도권 표준, 3단계로 전국 표준을 정립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