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오후 경남 진주시 경상대학교병원 암센터 앞에서 경상대 의대 및 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소속 교수진이 손피켓을 들고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향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의대생들이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휴학을 신청하며 동맹휴학을 관철하려 하고 있지만, 의대 1곳이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의대생 600여명이 제출한 휴학계를 반려했다. 요건을 충족한 휴학계를 거부한 것이어서 반발이 거셀 것으로 전망된다. 의대생 단체는 휴학계가 승인되지 않으면 행정소송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27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날(26일) 하루 동안 전국 40개 의대에서 유효한 휴학계를 제출한 학생은 6개교 382명으로 집계됐다. 1개교 646명이 낸 휴학계는 반려됐다. 이 학교는 지방 거점 국립대로 알려졌다.

유효한 휴학 신청은 학과장 서명, 학부모 동의 등 학칙에 따른 절차를 지켜 제출된 휴학계다. 교육부는 동맹휴학은 휴학 사유로 인정할 수 없어 대학이 휴학 신청을 승인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22일에는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 총장 간담회에서 “휴학의 형식적 요건을 갖췄더라도 실질적 휴학 사유를 충분히 검토하고, 정당한 사유가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는 거부 또는 반려해 학생들의 복귀를 독려해달라”고 말했다. 1개 대학은 이 요청을 수용한 셈이다.

유효한 휴학 신청은 총 8967건이다.휴학 신청자보다 반려자가 많아 전날 집계(9231건)보다 264건 감소했다. 지난해 4월 기준 전국 의대 재학생(1만8793명)의 47.7% 수준이다.

의대생 단체는 동맹휴학을 관철하겠다는 입장이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지난 23일 임시총회를 열고 의대 교수들의 집단 사직서 제출일인 25일에 맞춰 전국 40개 모든 의대가 휴학계 수리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수리되지 않는 단위는 행정소송도 불사하겠다”고 결의했다.

8개 의대에서는 수업 거부가 확인됐다. 수업 거부가 이어질 경우 학생들은 수업일수 부족으로 집단 유급에 처할 수 있다. 교육부는 전날부터 집단행동 참여를 강요받는 의대생을 보호하기 위해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