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시리즈 드라마 ‘살인자ㅇ난감’을 연출한 이창희 감독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연상케 했던 장면들을 일일이 해명했다.

넷플릭스 시리즈 살인자o난감 속 형성국 회장. / 넷플릭스 캡처

이 감독은 14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인터뷰를 통해 “정치적인 견해를 작품에 반영할 마음이 있었다면 그렇게 치졸한 방법을 쓰진 않았을 것”이라며 “비정치적인 작품에 감독의 정치 견해를 몰래 녹이는 건 저열한 행위라고 생각한다”고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넷플릭스 역시 “사실무근”이라며 공식 부인한 바 있다.

이 감독은 당초 오는 15일 인터뷰할 예정이었으나 지난 9일 드라마가 공개된 이후 명절 연휴 기간에 드라마와 관련한 논란이 온라인 커뮤니티 등지에서 불거지자 일정을 하루 앞당겨 이날 기자들을 만났다.

문제가 된 인물은 7회에 등장하는 재벌그룹 회장 ‘형정국’으로, 배우 승의열이 연기했다. 백발이 섞인 머리카락을 넘겨 이마를 완전히 드러낸 외모와 검은 테 안경이 이재명 대표와 비슷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살인자ㅇ난감'을 연출한 이창희 감독. /넷플릭스 제공

이 감독은 배우의 외모에 대해선 “저희 작품에 150명의 배우가 등장한다”며 “해당 배우(승의열)가 특정 정치인과 닮았다고 한 번도 생각한 일이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감독은 형정국의 죄수번호 4421이 대장동 개발사업 시행사가 챙긴 4421억원과 일치한다거나 형정국이 구치소에서 초밥을 먹는 장면은 이 대표 부인이 법인카드로 초밥을 결제한 의혹을 연상케 한다는 지적도 부인했다.

이 감독은 “의상팀에도 재차 확인해봤지만, 형정국의 죄수번호는 아무 의미 없이 갖다 붙인 것”이라며 “정치인과 관련된 숫자가 한둘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또 “초밥을 먹는 장면은 그 인물의 도덕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일 뿐”이라며 확대해석이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형정국의 딸 형지수 이름은 “작가가 대본을 쓰면서 김지수 PD 이름에서 따왔다”며 “이름들은 스태프들의 이름을 따온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 감독은 형정국이 경동맥을 공격당하는 장면에 대해선 “우리 드라마는 (이 대표 피습 사건 전인) 작년 3월 촬영을 마쳐서 시기상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부 우연의 일치도 있었지만, 억지로 꿰맞춘 게 아닐까 생각한다”며 “처음에 그 얘기를 듣고 웃었는데, 점점 일이 커지니까 황당하기도 하고 억울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작품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신 게 아닌가 해서 고마운 마음도 든다”고 덧붙였다.

배우 이창희 감독(왼쪽부터)과 배우 이희준, 최우식, 손석구가 1일 서울 용산구 몬드리안 서울 이태원 호텔에서 진행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살인자ㅇ난감’(각본 김다민/연출 이창희) 제작발표회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뉴스1

꼬마비 작가의 동명 웹툰을 원작으로 한 ‘살인자ㅇ난감’은 우발적인 계기로 사람을 죽인 주인공 이탕(최우식 분)과 탁월한 직감으로 살인사건을 수사하는 형사 장난감(손석구)의 이야기를 다룬 범죄 스릴러다. 평범한 남성이 우발적으로 살인을 저지른 뒤 점차 살인자로 변모해가는 과정을 담았다.

이 작품은 공개 이틀 만에 한국을 비롯해 방글라데시·인도·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파키스탄·필리핀·카타르·싱가포르·태국·베트남 등 11개국에서 시청시간 1위를 기록하며 인기몰이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