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방관 순직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극한 상황에 맞서는 소방대원의 현장 대응력을 높이고자 개인장비 품질을 해외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소방청이 순직 소방공무원의 헌신을 기억할 수 있는 전 국민 참여 추모행사를 올해부터 매년 개최한다.
소방청은 이런 내용이 담긴 2024년 소방청 주요 정책 추진계획 및 업무 계획을 7일 발표했다.
우선 소방청은 공기호흡기와 특수 방화복·헬멧·신발·장갑·두건 등 6종의 개인보호장비 기본규격 기준을 상향하기로 했다. 오는 2026년까지 15억원을 투입해 소방대원의 헬멧 무게를 10% 줄이는 품질개선 연구개발에 나서는 등 현장 대원들에게 최고 수준의 보호장비를 지급할 계획이다.
현재 화재 진압 소방관에 지급된 헬멧은 1.4㎏ 이하, 구조대원 헬멧은 700g∼1㎏ 정도다. 랜턴 등 현장 활동에 필요한 추가 장비를 헬멧에 부착할 경우 무게는 2배 가까이 늘어나 경량화 요구가 시급한 과제로 제시돼 왔다.
소방청은 기존에 ‘1→2→3단계’로 순차 상향하던 소방 비상 대응단계를 현장 지휘관 판단에 따라 최고 단계인 3단계부터 즉시 발령할 수 있도록 체계를 전환한다. 최고 단계인 3단계에서는 전국에 가용 가능한 모든 소방 인력과 장비를 동원하는 것으로, 대형 피해가 예상되는 재난 때 발령된다.
소방청은 대용량 방사포 등 고성능·고효율의 특수장비를 국가 중심으로 도입하는 한편 다목적 중형구급차 등 현장 활용도가 높은 장비는 지역별로 적재적소에 배치하기로 했다.
주요 소방 장비 도입·교체계획을 보면 2026년까지 2590억원을 투입해 소방헬기 3대를 신규 도입하고, 노후 헬기 6대를 교체한다. 2030년까지 1414억원을 들여 소방선박 500톤(t)급과 150t급 각 2척, 50t급 5척 등 총 9척을 도입한다.
아울러 이날 소방청은 순직자 및 공상자에 대한 예우 강화 방안을 담은 2024년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전 국민 참여 추모행사인 ‘119메모리얼데이 기념행사’를 올해부터 매년 개최하기로 했다.
또 유가족을 대상으로 ‘마음 치유’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유가족의 생계 자립 및 유자녀 교육 지원 방안을 다각화한다. 다치거나 투병하는 소방공무원들이 정당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인사혁신처에 적극적으로 의견도 개진하기로 했다.
재난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대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신속동료구조팀’(Rapid Intervention Team·RIT) 중앙 표준안을 수립해 시·도별로 적용을 의무화한다. 소방청 관계자는 “지난해 제공한 표준안으로 시·도가 상황에 맞게 RIT를 선택적으로 운영하도록 했더니 편차가 너무 컸다”며 “이에 광역시 단위, 도 단위 등 다양한 시·도별 상황을 고려한 공통 표준안을 올해 안에 만들어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