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 한 마리가 침대 위를 기어가고 있다. /유튜브 캡쳐

정부가 해충 방역 업체들을 직접 만나 지역별 빈대 확산 현황과 효과적인 빈대 방역 방법을 듣기로 했다. 최근 전국 고시원, 찜질방과 같은 장소를 중심으로 빈대가 퍼지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3일 조선비즈 취재를 종합하면 질병관리청(질병청)은 오는 6일 서울 용산구에서 해충 방역 업체 관계자들과 함께 간담회를 진행한다. 국내 최대 방역 업체인 세스코도 간담회 참석이 확정된 상태다. 질병청은 현재 한국방역협회로부터 추천받은 중소 업체 두 곳 정도를 함께 섭외하고 있다.

질병청은 어느 지역에서 빈대 퇴치 의뢰가 가장 많이 들어오는지, 또 빈대가 어디까지 퍼졌는지와 같은 내용을 파악하는 게 이번 간담회의 주요 목적이라 설명했다. 질병청 관계자는 “방역 업체들마다 지역별 빈대 신고 건수를 정리해두는 것으로 안다”며 “그 숫자를 받아서 정리하면 빈대 확산 현황을 얼추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질병청은 또 업체들이 방역 과정에서 채집한 빈대 샘플을 받기 위해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에 주로 퍼지고 있는 빈대는 ‘반날개빈대’라 불리는 종류로 알려져 있다. 반날개빈대는 원래 열대지방에 서식하며 사람·박쥐·새와 같은 포유류 피를 빨아먹고 산다. 해충 전문가들은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이 끝난 뒤 외국인 관광객은 물론 해외에 다녀오는 내국인이 급증하면서 반날개빈대가 유입, 확산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각 방역 업체들이 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빈대를 퇴치하고 있는지도 간담회에서 이야기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부분은 기업 노하우에 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관계자들이 언급을 꺼릴 경우 질병청은 간담회 이후 업체들과 개별적으로 접촉할 계획이다.

앞서 질병청은 빈대 대응 안내문을 만들어 지자체와 각 부처에 배포했는데, 이번 간담회 내용 중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해당 안내문에 내용을 추가할 계획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빈대가 질병을 옮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빈대 방역은 지자체가 나서줘야 하는 부분”이라며 “지자체가 방역 업체와 함께 효율적으로 빈대를 퇴치하도록 돕는 게 우리 역할”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