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MZ세대(밀레니얼+Z세대, 1980~2004년생) 사이에서 모바일 사진 편집 애플리케이션(앱)으로 AI 프로필 사진을 만드는 게 유행이다. 앱에 자신의 사진 몇 장을 올리면 AI가 이를 조합해 고화질 프로필 사진을 만들어 준다. 원본을 AI가 추구하는 미남미녀상에 가깝게 보정하기 때문에 실물과 많이 달라지는데 그게 바로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보정본에 만족한 일부 젊은 사람들이 AI 프로필 사진으로 신분증, 여권까지 만들자 행정안전부는 “신분증에 써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기자가 직접 AI 프로필 사진으로 주민등록증 재발급을 해봤더니 온라인상에선 반려됐지만 주민센터에서 지문 인증을 하면 가능했다. 전문가들은 주민등록증 사진을 조금 더 보수적으로 검토해 도용이나 범죄에 악용되는 일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걸그룹 '르세라핌' 사진으로 만든 스노우 'AI 프로필' (스노우 제공)

◇ AI가 ‘미화된 증명사진’ 만들어주는 서비스 인기

AI 프로필은 셀카 10~20장을 올리면 AI가 사진을 조합해 새롭게 고화질의 프로필 사진 30장을 만들어 주는 서비스다. 24시간 내 제작은 3300원, 1시간 내는 6600원을 내고 이용할 수 있다. AI가 만들어 내는 사진마다 의상과 헤어, 배경이 다른 데다가 사진 분위기에 따라 화장도 달라진다. 화장하고 머리를 손질하고 사진관에 가서 사진을 찍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서 인기다.

7일 네이버 자회사가 운영하는 사진 촬영·편집 앱 스노우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출시한 AI 프로필 서비스 이용 건수가 지난달 말 기준으로 150만건을 넘어섰다. 출시 직후 이용자가 몰려 ‘이용 지연’ 상황이 연출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지난달 하순 서비스 지역을 일본과 태국, 인도네시아 등 해외로 확대하면서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본인 얼굴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미화(美化)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점도 인기 요인이다. 2000년대 유행한 포토샵으로 보정한 증명사진보다는 자연스럽지만 실물보다 얼굴은 작아지고 이목구비는 더 뚜렷해지는 식이다. 각기 다른 사진으로 AI 프로필 서비스를 벌써 세 번이나 이용했다는 김 모(20) 씨는 “물론 실제 나와 다르다는 걸 알지만, 나를 닮은 걸그룹 멤버 같은 결과물이 너무 맘에 들어서 수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MZ세대 사이에서 본인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AI 프로필 사진을 인증하는 게 놀이처럼 유행하기도 했다. 현재 인스타그램에선 AI 프로필 관련 게시물이 1만여 개가 뜬다. 본인뿐만 아니라 좋아하는 연예인 사진을 넣어 AI 프로필을 만들었다는 후기도 많다.

◇ AI 사진, 신분증 사용 안 되지만... 직접 해보니 “지문 인증 하면 가능”

정부는 AI 프로필 사진을 주민등록증에 사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민등록법 시행규칙 등에 따르면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 등 신분증 사진은 기본적으로 ‘6개월 이내에 모자 등을 쓰지 않고 촬영한 천연색 상반신 정면 사진’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규정에 해당하지 않는 사진을 가져올 경우, 재발급 자체가 반려되거나 사진 보완 요청을 받게 된다.

그러나 기자가 AI 프로필 사진으로 주민등록증 발급을 시도해 보니, 큰 어려움 없이 발급이 가능했다. 지난 6일 정부24를 통해 온라인 주민등록증 재발급을 시도했다. 개인정보를 적는 칸을 채우고 사진란에는 규격에 맞게 편집한 AI 프로필 사진을 넣었다. 신청한 지 약 30분이 지나자 주민등록증을 수령하기로 한 주민센터에서 “이전 사진과 일치도가 낮아 온라인 재발급이 불가하다”며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본인 인증을 하면 신청이 가능하다”는 문자가 왔다.

주민센터를 찾아 지문 확인을 진행하니 해당 사진으로 어렵지 않게 신분증을 신청할 수 있었다. 공무원 A씨는 “주민등록증 재발급 신청을 하면 전산상에 있는 안면인식 프로그램을 돌리고 (일치도가) 60점이 넘는지 확인하지만, 안 넘더라도 재량껏 대부분 처리해 준다”고 말했다. 외형적 변화로 현재 모습이 과거와 달라진 경우도 있고, 보정을 많이 한 사진을 갖고 발급을 원하는 이들도 더러 있기 때문이다. 이를 일일이 반려할 경우 주민들이 민원을 넣거나 소송을 거는 경우도 있어 본인 인증을 마치면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AI 프로필처럼 실물과 다른 사진을 신분증에 사용할 수 있게 하면 범죄자들이 악용할 수 있으므로 정부와 지자체가 더 보수적으로 사진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홍성걸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는 “주민등록증 사진을 공무원 개개인이 재량껏 판단할 경우 남의 사진을 도용해 쓰거나 범죄에 악용하는 일이 많아질 수 있으므로, 일치도가 떨어지거나 맨눈으로 봤을 때 다른 사람이라고 여겨지는 경우 수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명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홍 교수는 “지자체에서도 담당 공무원이 사진 반려할 때는 설령 민원이 들어왔더라도 정당한 업무 처리를 한 담당자의 권한을 존중해야 하고, 비합리적인 요청을 한 주민에게는 제재나 합당한 조치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