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주째 이어지는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주요 산업 분야의 손실액이 3조5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했다. 조속한 업무 복귀를 위해 파업에 참여하지 않아 피해를 본 화물차주에게는 신변보호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2차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철강 분야의 출하량은 평소의 50% 정도이며, 재고가 소진된 주유소가 수도권, 충청, 강원 등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확산세는 주춤한 상태”라고 말했다. 기름이 동난 전국 주유소는 지난 5일 96개소에서 지난 6일 81개소로 줄었다.

6일 강원 동해에서 화물연대 총파업 투쟁 승리를 위한 결의대회가 열린 가운데 집회장소인 대한송유관공사 동해저유소 주변에 유조차 12대가 줄지어 주차돼 있다./강원경찰청 제공

이 장관은 “석유화학 분야의 수출물량은 평소의 5% 정도에 불과하다”고도 했다. 이어 그는 “시멘트 분야는 업무개시명령 발동 이후 어제(6일)까지 33개 운송사 중 19개사, 차주 824명 중 492명이 운송 재개했고, 차주 48명은 복귀 의사를 표했다”고 전했다. 그 결과 전날 시멘트 출하량은 평소의 90%까지 회복됐으나, 건설 현장의 공정 지연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 장관은 “철강, 정유, 석유화학 등 주요 산업 분야의 손실액이 3조5000억원에 이르고 있다”며 “정부는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하고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 특히 집단운송거부에 참여하지 않아 피해를 본 화물차주께서는 112로 신고해주시면 즉각 조치하고 신변 보호에도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어 “화물연대는 민생과 국가 경제를 볼모로 한 운송거부를 즉시 중단하고 조속히 업무에 복귀해달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