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1일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에 출석해 “부정선거 의혹은 음모론이 아니다”라며 “(비상계엄 당일) 선관위 전산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스크리닝 해볼 수 있으면 해보라고 한 것”이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3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열린 자신의 탄핵 사건 세 번째 변론기일에 직접 출석했다. 윤 대통령은 변론이 끝나갈 무렵에 재판관에게 발언 기회를 얻어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부정선거 의혹을 음모론이라고 하고, 계엄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든 사후 논리라고 했는데 이미 계엄 선포 전에 여러가지 선거 공정성에 대한 신뢰에 의문이 드는 것들이 많이 있었다”고 했다.

이어 “2023년 10월 선관위 전산장비 극히 일부를 점검한 결과 문제가 많이 있었기 때문에 부정선거를 색출하려는 것이 아니라, 선관위 전산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스크리닝해볼 수 있으면 해봐라, 어떤 시스템에 의해서 가동이 되는지 보려고 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선거가 너무 부정이어서 믿을 수 없다는 음모론이 아니라 팩트 확인 차원이었다는 것을 이해해달라”고 했다.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인 윤갑근 변호사도 이날 변론기일을 마친 뒤 헌재 심판정 앞에서 만난 취재진에 같은 취지로 말했다. 취재진이 ‘(선거 과정에) 실제 문제가 있으면 수사를 의뢰할 수 있지 않느냐. 왜 그런 식으로 한 것이냐’고 질문하자, 윤 변호사는 “선거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는지에 대한 여러 가지 점검이 있었는데 거기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게 밝혀졌고, 부정 선거에 대해서도 너무나 오랫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다”고 했다.

이어 “선거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제도 아니겠나”라며 “그런데 그것(부정 선거 의혹)이 제대로 해소가 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니, 대통령 입장에서는 점검을 해서 국론 분열도 막고, 공정성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해결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 방안으로 점검하려고 했던 것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