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국내 주요 자산운용사에 상장지수펀드(ETF)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최근 자산운용업계에서 크고 작은 사고와 출혈 경쟁 등 잡음이 잇따르자 실태를 들여다보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뉴스1

15일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국내 주요 운용사에 합성 ETF 스와프 담보 내역, 주식 대차거래 내역, ETF 설정·환매 내역, ETF 괴리율 공시 내역 등을 요구했다.

금감원은 합성 ETF의 담보 현황을 통해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담보 자산의 적절성과 신용 위험도를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펀드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증권사 유동성공급자(LP) 간의 설정 관행도 짚어볼 수 있다. 자산운용사들이 수탁고 경쟁으로 LP에 ETF 설정을 강요하거나, 이를 거부할 경우 특정 ETF에 참여를 제한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었다.

금감원의 이번 자료 요구는 ETF 시장에서 잡음이 반복된 데 따른 대응으로 보인다. 최근 ETF의 장중 실시간 순자산가치(iNAV) 산출 오류로 실제 가치보다 높게 평가되는 일이 있었다. iNAV가 고평가되면 투자자는 ETF를 실제 가치보다 비싸게 사는 셈이 된다. 대형 자산운용사를 중심으로 한 보수 인하 출혈 경쟁, 미래에셋운용의 배당금 축소 지급 논란 등도 있었다.

금감원은 자산운용업계에 수차례 경고장을 보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10일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에서 상품 운용, 관리 체계 점검 등을 언급하며 “운용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펀드 가격 산정에서 오류가 반복되고 있다”며 “이는 투자자의 신뢰를 근본부터 흔드는 일”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