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 금리 급등을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선제 조건이 제시됐다. 주요 조건으로 상호관세 유예기간 동안의 굵직한 개별 협상,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기조 완화와 함께 중국의 수출 감소폭이 크지 않아야 한단 분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제공

14일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상호관세로 인한 물가 리스크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섣불리 금리 인하에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90일간 상호관세 시행을 유보함으로써 연준의 관망 분위기가 더욱 길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결국 국채 금리가 안정을 찾기 위해선 상호관세 유예기간 동안 굵직한 개별 협상이 타결되어야 한단 게 박 연구원 판단이다. 지금으로썬 주요 교역 파트너와의 개별 관세 협상이 그나마 상호관세 우려를 약화시킬 수 있단 거다.

이 외에도 가능성은 낮지만 극적인 미·중 갈등 완화, 관세정책을 앞세운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기조의 완화 등을 들었다.

아울러 박 연구원은 4~5월 중국 수출 감소폭이 시장 기대보다 양호해야 한단 입장이다. 그는 “관세 충격에 대미 수출이 급감한 여파로 중국의 수출 증가율이 큰 타격을 받을 경우 중국의 대미 보복 강도는 더욱 강해질 수 있다”고 했다. 미국 국채를 대규모 매도하는 등 액션을 취할 수 있단 의미다.

그러면서 “국채 금리 급등은 트럼프 2기 정책 기조의 실패이자 국채가 더 이상 안전 자산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국채 금리가 재차 내림세를 보여야 주식시장의 반등은 물론 경제 침체에 대한 공포도 진정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