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시장이 폭락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IT 버블 붕괴, 금융위기, 코로나19 당시의 비슷한 경제 지표가 나타나고 있다는 게 그 근거다. 중국의 주가 부양책 역시 더 이상의 효과가 크지 않을 전망이다.

2024년 9월 10일 뉴욕의 뉴욕증권거래소 모습. /AP연합

31일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 경기가 하락하는 임계 수준에 도달했다”며 “과거 사례를 보면 미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 기준금리’ 관계가 형성될 경우 대형 위기가 찾아왔다”고 했다.

2000년대 초반 IT버블 붕괴, 2008년 금융위기, 2021년 팬데19 등 미국의 주가 지수가 하락했을 때는 모두 명목 GDP 증가율이 기준금리보다 낮았다. 강 연구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 관계가 다시 나타났다”며 “올해 1분기에는 미국 명목 GDP 증가율이 기준금리를 더 크게 하회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트럼프 2기의 쌍둥이 적자 해소 정책도 증시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보복적 관세 부과는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취약점을 보강해 국가의 장기 연속성을 확보해 주지만 중기적으로는 미국의 경기를 훼손할 여지가 있어서다.

강 연구원은 “미국 재정수지 적자를 줄이기 위한 재정지출 감축은 미국 내 수요를 약화한다”며 “미국 경상수지 적자를 줄이기 위한 관세는 미국 외 수요를 약화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모두 같이 미국 기업의 매출을 줄이는 요인이다.

강 연구원은 또 중국 부양책 관련 모멘텀이 소강상태에 돌입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 연구원은 “최근 5년간 중국 내 다양한 사건이 대두했지만 GDP 증가율을 평균 5%로 유지할 경우 각 문제가 확대되지 않았다”며 “해당 시기 중국은 헝다 사태 이후 뒷수습을 진행했으며, 코로나 사태도 적절히 방어했다”고 했다. 중국 GDP 증가율 5%는 내부적으로 치유하는 능력을 갖췄다는 얘기다.

또 강 연구원은 “2023년부터 최근까지 중국 부양책 얘기는 많았지만 그들 GDP 증가율은 5% 내외를 유지했을 따름”이라며 “지난 기간 금융시장에서는 중국 부양책을 양치기 소년의 말처럼 기대와 실망의 반복으로 소화했다”고 했다. 이어 “실상 중국은 내수 부양을 하면서도 버블 방지를 이룰 수 있는 GDP 증가율 5%를 타깃으로 잔잔하게 움직이고 있었다”고 했다.

미국 주식시장의 깊은 하락에 빠지고 중국 주식시장의 소강된다면 한국 주식시장을 움직이는 동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강 연구원은 “한국 주식시장의 반등은 연초부터 3월 중순까지 전개된 것으로 마무리될 것”이라며 “향후 재하락 여지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