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인회계사회는 회계정책연구원이 2025년 1분기 ‘공인회계사가 본 경기실사지수(CPA BSI)’를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공인회계사회 제공

경제와 산업 전반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있는 공인회계사(회계법인의 파트너급 이상 전업 회계사와 기업체 임원급인 휴업 회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조사 결과 올해 1분기 경제 현황 BSI는 60, 올해 2분기 전망 BSI는 74로 나타났다. BSI는 100을 기준으로 100을 초과하면 경기 호전을 의미하며 반대로 100 미만이면 경기 악화를 의미한다.

현황 BSI는 지난해 하반기(66)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자국보호 통상정책 전환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확대와 지속적인 경기침체로 기준금리 인하 추세, 반도체 산업 경쟁 격화로 주력 산업의 수출 증가세 둔화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올해 2분기 전망 BSI(74)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의 불확실성, 미ㆍ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내수 회복 지연 등과 대외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 경제의 특성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수치다. 올해 1분기(60)에 이어 여전히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1년간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으로는 ▲글로벌 경기 흐름(27%) ▲원자재 가격 및 인플레이션(12%) ▲경제·안보 및 기술 블록화 대응(11.1%) ▲통화정책 방향과 자금 조달 환경 변화(10.6%) 등을 꼽았다.

산업별 현황 BSI는 조선(145), 식음료(98), 제약⋅바이오(97), 정보통신(96) 등으로 조사됐다. 조선업 이외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준치(100)를 밑돌며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전망 BSI에서도 조선(145), 제약⋅바이오(101), 전자(98), 정보통신(95) 등으로 파악됐다. 조선과 제약⋅바이오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이 기준치(100)를 하회하며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CPA BSI 22호의 자세한 내용은 회계정책연구원 홈페이지에 이달 말에 게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