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증권은 26일 최근 8조5000억원을 투자해 미국에 제철소를 설립하는 계획을 밝힌 현대제철(004020)에 대해 구체적인 출자 비율이 나오기 전까지 숫자로 확인할 수 없는 자본 비용은 불확실성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투자 의견을 ‘중립(Hold)’으로 하향했다. 목표 주가는 3만원을 유지했다. 현대제철의 전일 종가는 2만7450원이다.
앞서 현대제철은 전날(25일)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자 규모는 58억달러(8조5127억원)다. 자본구조에 대해서는 자기자본, 타인자본 5대 5로 할 예정이며 자기자본의 과반을 소폭 상회하는 수준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이 공동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유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제철이 지분 출자 세부 비율과 내용은 결정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며 “구체적인 출자 비율이 나오기 전까지는 숫자로 확인할 수 없는 자본 비용은 불확실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투자 이견을 중립으로 하향한다”고 했다.
이 연구원은 현대제철의 이번 미국 투자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 다극화된 시대에서 현지 생산은 유의미한 투자라고 평가했다. 미국이 철강재 순수입국인데다, 미국 내 철강재 생산 물량에 대해서는 25% 관세를 받지 않는 점, 또 현대제철이 투자하는 미국 내 제철소는 시작부터 캡티브 시장(현대·기아차 물량 및 기타 OEM)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현대제철의 공시에도 출자 구조나 비율이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아 현 시점에서 재무 부담을 추정할 수 없다는 점과 2000년대 고로 투자의 재무 부담이 현재까지 현대제철에 이어져 왔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시장의 반응은 합리적이라고도 평가했다. 앞서 전날 현대제철의 주식은 7% 하락 마감했다.
이 연구원은 현대제철의 재무 부담에 대해 ‘현대자동차그룹이 자기자본의 과반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출자할 것이라 이야기한 것을 바탕으로 추정하면 자기자본에서 50%를 현대자동차가 투자를 하게 되면 2조1250억원을 투자해야 하고, 그 중 현대제철의 비중에 따라 재무 부담이 달라질 것”이라며 “제철소 투자인 만큼 현대자동차그룹 투자에서도 현대제철의 비중이 50~70%라고 가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상증자를 검토하지 않았다고 언급했지만 타인자본 조달도 문제”라며 “투자금의 절반을 타인자본으로 조달해야 하는데 그러므로 미국 제철소의 법인 형태가 중요해진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높은 확률로 합작투자(JV)의 형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는데 아직 정해지지 않은 지분율에 따라 미국 제철소가 현대제철에 연결되느냐, 지분법으로 인식되느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앞으로 기대되는 현대제철의 주가 모멘텀(상승 동력)으로 ▲중국 감산 확산 ▲열연과 형강 등 반덤핑 관세 조사 결과 발표 ▲미국 제철소 지분율 확정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