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으로 1조원 가까운 국민 노후자금을 잃을 위기에 놓인 국민연금이 내부적으로 대책 마련을 주도할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대형 로펌 선임에 나섰다.

서울의 한 홈플러스 매장 앞으로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 뉴스1

24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관계자는 “(국민연금과 연관된) 큰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TF를 구성하고 대책을 논의해왔다”며 “이번 홈플러스 이슈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TF 구성)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연금은 2015년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당시 6000억원 넘는 돈을 투자했다. 서원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CIO)은 이달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상환전환우선주(RCPS)로 5826억원, 보통주로 295억원 등 총 6121억원을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국민연금은 RCPS에서 원금 942억원과 이익금 2189억원을 합쳐 3131억원을 회수했다. MBK와 계약할 당시 이율은 9%였다. 서 본부장은 “중간에 9%에서 일정 기간이 지나고 13%로 스텝업됐다”며 “그걸 포함하면 현재 공정가치평가상 (받아야 할 돈은) 9000억원 정도”라고 했다.

손실 확정 여부에 따라 국민연금은 1조원에 가까운 국민 노후자금을 날리는 셈이다. 국민연금이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자 내부적으로 TF를 구성하고, 법률 자문을 얻을 대형 로펌 선임 절차에 착수한 이유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향후 대응 일정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정해진 건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