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352820)에 투자 중인 개인 투자자들의 한숨이 커지고 있다. 뉴진스의 전속계약 해지 선언에 이어 하이브 최대주주인 방시혁 의장과 사모펀드(PEF) 운용사 간 상장 과정에서 맺었던 ‘4000억원 이면계약’, ‘기획펀드’ 의혹이 수면 위로 올라오는 등 악재가 잇따라 터진 탓이다.
이미 투자자 중 65%가량이 평가 손실을 보고 있는데, 오너 리스크까지 연달아 나오면서 추가 손실이 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일 NH투자증권에 따르면, MTS 나무를 이용하는 고객 가운데 11월 28일 기준 2만6203명이 하이브에 투자 중으로, 손실투자자 비중은 64.82%로 집계됐다. 주주 5명 중 3명은 손실을 보고 있는 셈이다. 평균 손실률은 7.17%다.
하이브 주가가 지난 29일 19만5200원으로 전일 대비 4% 넘게 밀린 만큼 손실 구간에 들어간 투자자들은 더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이브는 2일 오후 1시 57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1.59% 추가 하락 중이다. 장 중 18만8000원까지 내리기도 했다.
하이브는 올해 9월 23일 1년 내 최저가(15만8000원)를 기록한 뒤 11월 20일 21만7500원으로 38% 급반등했다. 내년 하반기 BTS가 완전체로 복귀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정책에서 벗어난 업종 중 하나로 엔터 사업이 주목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후 같은 달 21일부터 29일까지 7거래일 만에 주가가 약 10% 하락했다. 특히 28일엔 뉴진스가 하이브 산하 레이블 어도와의 전속계약을 해지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방 의장이 하이브 상장 과정에서 사모펀드 운용사들과 주주 간 계약을 맺어 4000억원 규모의 금액을 받았다는 것이 드러나며 주가가 급락했다. 이날 하루 개인들은 기관과 기타법인이 던진 180억원 규모의 물량을 모두 받았다.
일부 주주들은 종목토론방에서 “이러다 공모가(13만5000원)까지 떨어지는 것 아니냐”, “BTS 기대감으로 반등하려니까 오너 리스크가 폭탄”이라며 비판했다.
방 의장을 둘러싼 논란은 올해 처음이 아니다. 지난 8월 8일 미국에서 BJ 과즙세연과 함께 있는 모습이 포착되면서 사생활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BTS 멤버 슈가가 음주 후 전동 스쿠터를 운전하다가 형사 입건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8월 7일에도 상승 마감했던 하이브 주가는 방 의장의 사생활이 부각되며 9일 6.31% 급락했다. 이후 주가는 같은 달 14일까지 4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증권가에서도 하이브에 대한 실적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리스크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고 나섰다. 이남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달 21일 보고서를 내고 “BTS 컴백으로 성장 기대감은 극대화됐지만, 어도어 이슈 등 리스크 최소화가 과제”라고 분석했다.
임수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내년에는 BTS 완전체 컴백과 르세라핌·보이넥스트도어(보넥도) 등 저연차 그룹의 수익화 시점 도래, 유로 플랫폼인 위버스의 본격적인 이익 창출 등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시장 컨센서스(증권가 평균 전망치)상 내년 하이브의 연결 기준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21.6% 늘어난 2조6695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64.9% 증가한 3466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