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이후 ‘트럼프 리스크’ 우려로 외국인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외국인 투자자 보유 비중이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이 보유한 코스피 주식 시가총액은 지난 15일 기준 637조487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스피 전체 시총(1973조5130억원)의 32.30%로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연초 32.7% 수준이던 외국인 시총 비중은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 7월 36%대까지 늘었지만, 점차 감소했다. 8월 34%대, 9월 33%대, 10월 말 32%대로 내려앉은 뒤 지속해서 줄고 있다.
외국인은 이달(1~15일)에만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8770억원 순매도했다. 일별로 보면 지난 4일과 7일 등 이틀을 제외하고 모두 순매도했다.
이달 5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며 자국 우선주의 기조에 따라 수출 중심의 한국 경기가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커졌다. 여기에 미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도 1400원을 돌파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에 투자하는 반도체 기업에 보조금을 주는 ‘칩스법(반도체지원법)’을 폐기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면서, 시총 1위인 삼성전자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진 영향도 있다.
외국인은 이달 들어 삼성전자를 2조7410억원 순매도했다. 지난 14일 기준 외국인의 삼성전자 주식 보유율은 51.72%로 지난해 4월 25일(51.68%)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외국인 이탈로 지난 14일 종가 기준 4만9900원에 거래되며 4년 5개월 만에 ‘4만전자’로 내려앉았다.
한편, 코스피지수는 지난 15일 전날보다 0.08% 하락한 2416.86으로 마감했다. 지난 8월 ‘블랙먼데이’ 이후 처음으로 장중 2400이 깨지기도 했다. 지난 12일 2500선이 무너진지 3거래일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