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증권가./조선DB

올해 1분기 국내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모두 약세를 보이면서 관련 펀드들의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1일 기준 설정액이 10억원 이상인 국내 주식형펀드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7.89%로 나타났다. 지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익률을 추구하는 국내 인덱스주식 펀드의 평균 수익률도 -8.59%을 기록했다.

운용을 통해 지수 대비 초과수익을 추구하는 액티브주식 펀드는 인덱스에 비해 하락률이 낮았지만, 평균수익률이 -6.29%로 손실 영역에 머물렀다.

상품별로는 ‘KRX BBIG K-뉴딜지수’를 2배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TIGER KRX BBIG K-뉴딜 레버리지’가 -35.00% 기록하면서 국내주식형 펀드 중 수익률이 가장 낮았다.

이어 지난해 메타버스·대체불가토큰(NFT) 테마 등으로 크게 올랐던 ‘KODEX 게임산업’(-28.14%)가 그 다음으로 낙폭이 컸다. 그러나 ‘KODEX 보험’(15.93%), ‘KODEX 철강’(10.10%), ‘TIGER 은행’(8.68%) 등의 ETF가 국내 펀드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ETF를 제외한 펀드 중에서는 ‘트러스톤정정당당성과보수증권자투자신탁[주식-파생형]I클래스’(3.55%), ‘한국투자중소밸류증권자투자신탁(주식)(A1)(3.53%) 등의 액티브 펀드가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국내 채권형펀드(설정액 10억원 이상)는 연초 이후 수익률이 평균 -1.05%를 기록했다. 국공채권 펀드(-2.45%), 회사채권 펀드(-0.58%), 일반채권 펀드(-1.34%) 등 손실을 보는 중이다. 다만 초단기채권 펀드(0.24%)만이 올해 플러스(+)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상품별로는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385560](-12.89%), ‘KOSEF 10년국고채레버리지’[167860](-10.58%) 등 주로 국고채 장기물에 투자하는 ETF가 수익률 하위권을 자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