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가 코넥스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제도 개편에 나섰다. 코스닥 시장으로의 이전상장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유동성을 공급할 방침이다.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사옥 내 황소상의 모습. /연합뉴스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는 10일 ‘코넥스 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보도자료를 내고 이 같이 밝혔다. 코넥스 시장은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조달과 모험자본 중간 회수를 지원하기 위해 2013년 7월 개설된 시장이다. 최근 기업들이 코스닥 직상장을 선호하며 비상장주식 등 대체투자자산의 거래가 늘자 코넥스 시장 내 거래는 상대적으로 위축된 상황이다. 지난해 코넥스 신규 상장 기업은 총 131개로, 전년(143개) 대비 감소했다.

거래소는 코넥스 시장 본연의 기능을 되살리고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먼저 올해 1분기 중 코스닥으로의 이전 상장 요건을 완화하기로 했다. ‘신속 이전상장 제도’의 재무 요건을 일부 완화하는 한편, 시가총액과 유동성을 토대로 심사하는 제도를 신설하기로 했다.

또 코넥스 시장에 상장할 때 발생하는 회계·공시, 지정자문인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일정 규모 이하 기업에 대해서는 내부 회계 관리 제도 감사 면제를 추진하는 방안 등을 도입한다.

코넥스 시장의 기본예탁금과 소액투자 전용 계좌 제도는 올 상반기 중 폐지하기로 했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코넥스 시장에 투자하는 사람은 3000만원 이상의 기본예탁금을 보유해야 하며, 인당 연간 투자 금액은 3000만원으로 제한된다. 거래소는 이 같은 규제가 코넥스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떨어뜨린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거래소는 최대 1000억원 규모의 ‘코넥스 스케일업’ 펀드를 조성해 기관 투자자가 투자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그 외에도 이전상장을 위한 컨설팅, 코스닥 상장 관련 수수료 면제, 기술 평가 부담 완화 등을 도입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