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로 피해를 입은 가계와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권 전반이 발 빠르게 나섰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주요 금융지주와 시중은행, 카드사, 보험사 등이 피해 복구를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KB금융그룹은 10억원을 기부하며 피해 복구를 위한 긴급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했고, 신한금융그룹도 순직자 및 부상자 지원을 위해 10억원의 기금을 조성했다. 하나금융그룹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이재민 구호와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10억원을 전달했다.
시중은행들도 적극적으로 구호활동에 나섰다. KB국민, 신한, 우리, BNK부산, 경남은행, iM뱅크 등은 피해 개인에게 최대 2000만원, 하나은행은 최대 5000만원까지 긴급자금을 대출해 준다. 농협은 피해 조합원에게 가구당 최대 1000만원의 무이자 자금을 지원하고, 수협은 피해를 입증한 고객에게 최대 2000만원의 생계자금을 지원한다.
기존 대출에 대한 지원도 강화됐다. 피해자들은 최대 1년까지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를 받을 수 있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대출 만기 연장 외에도 최고 1.5% 금리 우대와 연체이자 면제를 제공하며, 우리은행, 하나은행, 경남은행은 상환 유예와 최대 1년의 만기 연장을 지원한다. 농협은행과 부산은행 역시 상환 유예 및 이자 납부 유예 조치를 시행한다.
카드사들은 피해 고객에게 최대 6개월 동안 카드 결제 대금 청구를 유예한다. 삼성카드는 일시금을 분할 납부로 전환하면 이자를 감면하며, 국민카드는 분할상환 조건을 변경하는 등의 추가 지원을 제공한다. 신한카드와 현대카드는 결제 유예 후 분할상환을 허용하며, KB국민카드는 피해 발생 후 연체료를 면제한다. 롯데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는 연체된 금액에 대해 추심을 유예하고 분할상환을 지원한다.
보험업계도 피해 고객을 위한 신속한 지원을 펼친다.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는 보험금 청구 시 심사를 먼저 처리하고, 조기 지급을 실시한다. 또한 보험료 납입 의무를 최대 6개월까지 유예하며, 보험계약대출도 빠르게 진행된다. 손해보험 사회공헌협의회는 대한적십자사에 5000만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산불 피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계와 중소기업에 신속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게 금융권의 역할이다”라면서 “피해 복구와 생계 안정에 필요한 자금을 신속하게 지원하고, 고객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다양한 금융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