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의 김서준 대표는 16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5 조선비즈 가상자산 콘퍼런스’에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인공지능(AI)이 발전하고 디지털 세계가 확장될수록 서로 다른 이해 관계를 가진 정부, 기업, 기술의 거버넌스(governance·정책 체계)를 만드는 일은 필수적 과제가 될 수 밖에 없다”며 “블록체인이 아니면 과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서준 해시드 대표가 16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5 조선비즈 가상자산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조선비즈

김 대표는 이날 콘퍼런스에서 ‘정부는 물리적 세계를 통치하고, 블록체인은 디지털 세계를 지배한다’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그는 “디지털 세계가 확장되면서 자산을 포함한 우리 삶은 많은 영역들이 크게 변화했다”며 “현금은 디지털화(化)된 숫자로 바뀌었고, 각종 신원 정보도 신분증 대신 디지털로 관리된다”고 말했다. 또 “인간의 교류도 최근에는 메타버스 등 디지털 세계에서 많이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디지털 세계의 확장이 마냥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소수의 빅테크(거대 기술 기업)들이 디지털 영토를 장악하고 있으며, AI 역시 특정 기업이나 자본의 필요에 의해 편향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가 사용하는 데이터는 구글이나 아마존, 애플, 페이스북 등 몇 곳의 빅테크가 점유해 이용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최근 미국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데이터를 특정 기업들이 사용하는데 반대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AI는 과연 공정할까”라고 반문하며 “오픈AI는 결코 오픈(open)된 회사가 아니다. 오픈AI가 어떤 철학과 방향성을 갖고 있는지, 거버넌스가 투명하게 만들어졌는지 등에 대해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디지털 세계에서 특정 자본의 독점을 막고, 바람직한 거버넌스를 만들기 위해선 인터넷이 창조될 당시의 투명한 프로토콜 체계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비트코인은 인류가 만든 최초의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경제 조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기업이 발행하는 자산이 아니기 때문에 대표자나 최고경영자(CEO)도 당연히 없다”며 “운영 참여에 대한 경계가 없고 투명한 네트워크로 운영되는 데다, 금융기관 없이 자산을 자체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과거에는 비트코인이 국가의 체계를 흔드는 ‘아나키스트’가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지만, 지금은 현실적 문제를 개선하고 정부와 협업할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 도널트 트럼프 당선인은 비트코인을 새로운 국가 전략 자산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김 대표는 앞으로 자산 보관과 투자 등 여러 분야에서 블록체인의 활용 범위가 빠르게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그는 “예를 들어 해외 부동산을 거래할 때는 굉장히 많은 작업이 필요하고 일반인이 접근하기도 어렵지만, 블록체인 체계에서는 마치 코인을 사고 팔듯 손쉽게 조각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