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가계대출이 다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조이기에 나선 시중은행의 대출 증가폭은 축소됐으나, 대출 수요가 2금융권으로 몰리는 풍선효과가 발생하면서다. 금융 당국은 ‘연간 가계대출 목표치’를 2금융권에도 적용하는 방안 등 추가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10월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전달보다 약 6조원 증가했다. 지난 8월 9조8000억원 늘어나며 3년1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데서 9월 5조2000억원으로 줄었지만, 지난달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특히 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폭이 컸다.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달 대비 1조1141억원 늘어났지만, 2금융권은 2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11월 3조원이 증가한 이후 약 3년 만의 최대 증가폭이다.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 중 절반은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이었다. 은행권이 가계대출을 축소하자 상호금융권이 집단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을 늘린 탓이다. 나머지 절반은 서민들의 급전창구로 불리는 카드론과 보험약관대출, 신용대출 등이 차지했다. 카드론 증가액은 5000억원, 보험약관대출은 3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금융 당국은 이달 11일 회의에서 2금융권도 은행권처럼 ‘연간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받아보는 방안을 논의하는 등 풍선효과 차단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 규제도 통하지 않으면 2금융권의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에도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금리를 1.2%포인트 올리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미래 리스크를 반영한 스트레스 금리가 올라가면 대출 한도는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한다.
앞서 금융 당국은 지난 9월부터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과 2금융권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2단계 스트레스 DSR 조치를 시행했다. 특히 은행권의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에 한해 스트레스 금리를 1.2%포인트 상향했다. 지난 1일에는 상호금융권 관계자들을 긴급 소집해 가계대출 관리 강화를 주문했다. 새마을금고 등이 집단대출을 끌어오기 위한 과도한 영업을 펼치면 대출 수요가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