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킥보드 보험 의무화 법안이 국회의 문턱을 2년 넘게 넘어서지 못한 가운데, 일부 지자체들이 직접 보험 가입 확산을 위해 나서고 있다.

2022년 5월 25일 오후 대전 유성구 충남대 인근에서 한 시민이 헬멧을 착용 하지 않은 채 전동킥보드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이날 대전 유성경찰서가 이곳에서 전동퀵보드 헬멧 착용 캠페인 및 미착용자에게 헬멧을 무료로 나눠주었다. 지난해 5월 13일부터 개정된 도로교통법에 따라 전동 킥보드 운전자는 안전모를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한다. /조선DB

2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경기 성남시는 지난해 말 모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개인형이동장치(PM) 보험’을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입했다. 성남시에 이어 올해는 서울 강남구와 광진구, 대전광역시, 김포시, 세종시 등이 전동킥보드 보험 도입에 가세했다.

지자체들은 민간 손해보험사들과 계약을 맺고,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보유한 전동킥보드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보험에 가입시키고 있다. 다만 개인 소유가 아닌 공유형 전동킥보드는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성남시의 경우 다음달 DB손해보험과 맺은 1년 계약이 만료되면 전동킥보드 가입 보험사를 다시 입찰해 선정할 예정이다.

전동킥보드 관련 사고는 매년 급증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에 신고된 전동킥보드 사고 건수는 2017년 117건, 2018년 225건, 2019년 447건, 2020년 897건, 지난해 1735건으로 매년 2배 가까이 늘고 있다. 지난 2017년과 비교해 약 15배 증가했다.

이에 국회에서도 지난 2020년 전동킥보드 보험을 의무화하는 법안들이 발의됐다. 법안 내용은 전동킥보드에 대한 면허제 등 안전 제도를 강화하고, 킥보드 운영사 또는 개인에 대한 책임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법안들은 발의된 지 2년이 지나도록 국회에서 통과는 고사하고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못했다.

국회 전경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전동킥보드 대여업체들이 가입할 수 있는 보험표준안을 마련했지만, 보험 가입이 의무가 아닌 이상 대여업체들이 구태여 비용을 들여 가입에 나설 이유가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지자체들이 시민 안전을 위해 직접 나선 것이다.

다만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전동킥보드 보입 도입은 아직은 재정 자립도가 높은 지자체 위주로만 이뤄지고 있어, 전국적으로 확산하기는 무리가 있다는 게 보험업계의 전망이다.

또 지자체가 주도하는 단체 보험은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보상 한도도 낮다. 성남시가 가입한 전동킥보드 보험 보상금을 보면 ▲교통사고로 사망한 경우 1500만원 ▲교통사고로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2000만원 ▲벌금 확정판결 사고 1건당 2000만원 ▲변호사 선임 비용 사고 1건당 200만원 ▲형사 합의를 봐야 할 경우의 교통사고 처리지원금 1인당 3000만원 한도로 지급된다.

해외의 경우 개인에게 전동킥보드 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을 시키고 있다. 독일과 일본은 개인 소유의 킥보드나 공유업체의 킥보드 모두 보험에 등록하게 돼 있다. 영국은 전동킥보드 공유업체에 보험 가입 의무를 적용하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아직 전동킥보드 보험 수요가 크지 않아 관련 상품을 출시한 업체가 많지는 않지만 의무화 법안이 시행되면 대형 손보사들의 진출이 늘고 보상 종류도 다양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