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반도체 (비메모리 반도체)]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16% 상승세이다. 아이앤씨(052860) +7.06%, 테크윙(089030) +5.73%, 가온칩스(399720) +4.93%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정보처리 목적으로 사용되는 반도체..CPU 등✔ 글로벌 시장 경쟁 치열..한국 점유율 3%✔ 초거대 AI 시장 확대로 AI 반도체 성장..'25년 비중 19% 전망
시스템반도체란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중앙처리장치(CPU)처럼 데이터를 해석·계산·처리하는 비메모리 반도체. 컴퓨터 중앙처리장치(CPU)처럼 특수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고도의 회로설계기술 필요.
D램, S램, V램, 롬 등이 메모리반도체에 속하며, 중앙처리장치(CPU)·멀티미디어 반도체·주문형 반도체·복합형 반도체·파워 반도체·개별소자·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메모리 이외의 모든 반도체가 시스템반도체.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기능이 단순하지만 수요가 많아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대량 생산방식이 가능. 반면 시스템반도체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제품별로 기술집약적인 요소가 강하기 때문에 소량 생산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윤을 남길 수 있음.
이러한 시스템 반도체는 한 업체가 모두 진행하기도 하지만 과정별로 특화된 기업으로 나뉘기도 함. 분류하면, 종합반도체회사(IDM), 설계전문업체(팹리스), 위탁생산업체(파운드리), 패키징 및 테스트 업체(SATS).
비메모리반도체 시장 경쟁은 치열한 상황. 2022년 기준 글로벌 시스템 반도체 점유율은 미국(54%), 유럽(11%), 대만(10%), 일본(9%), 중국(6%), 한국(3%) 순. 중국은 정부의 정책적, 자본적 지원에 힘입어 반도체 산업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성장 중(출처: 삼일PwC경영연구원).
시스템 반도체는 향후 5G,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새로운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 특히 챗GPT 등 초거대 AI 시장 확대로 AI 반도체 성장에 주목. AI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0년 230억달러 규모에서 2025년 700억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의 19%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출처: 가트너, 스태티스타).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시스템반도체 사업을 적극 육성하는 중. 삼성전자는 '2030년 시스템(비메모리) 반도체 1위' 목표를 내걸고, R&D에 133조원을 투자. 특히 첨단 패키징 분야에 투자를 집중(2019.04.24). SK하이닉스는 지난해 17년 만에 8인치 파운드리 기업인 키파운드리를 다시 인수해 파운드리 위탁 생산능력을 2배 확대(2022.08.02).
정부도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300조원 규모의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결정. 경기 용인시에 2나노미터(nm) 이하 최첨단 반도체 제조공장 5기를 구축하고 국내외 우수 소부장·팹리스 기업, 연구소 등 최대 150개를 유치할 예정. 2042년까지 기존 생산단지(기흥, 화성, 평택, 이천 등)와 인근 소부장 기업 및 판교의 팹리스 밸리 간 연계를 통해 메모리-파운드리-팹리스-소부장이 집적한 메가클러스터 구축 계획(2023.03.15).
또 지능형 메모리(PIM) 설계 기술과 첨단 소재·부품·장비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을 2022년부터 2028년까지 총 4000억원 규모로 진행. 전력반도체, 차량반도체, 첨단패키징 등 유망 반도체 기술의 선제적 확보를 위해 1.4조원 규모의 예타도 추진.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
아이앤씨(052860)+7.06%시스템 반도체 팹리스 업체로, 스마트그리드 사업에 필수인 전력 검침기용 모뎀 및 다양한 IoT 플랫폼에 적용되는 와이파이(WiFi) 칩 생산.
테크윙(089030)+5.73%반도체 테스트핸들러 장비 전문 기업. 메모리 테스트핸들러 장비 기술을 기반으로 비메모리 테스트핸들러 장비 시장으로 사업 확대. 주요 고객사는 SK하이닉스, SanDisk, Micron 등 글로벌 메이저 반도체 소자 및 테스터 업체.
가온칩스(399720)+4.93%시스템반도체 산업 내 디자인 솔루션 기업. 팹리스와 파운드리 사이에서 반도체 설계 및 양산 공정 솔루션 제공.
코아시아(045970)+4.48%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 디자인 솔루션 전문 업체인 자회사 코아시아세미(지분 100%) 보유. 코아시아세미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SAFE DSP(디자인 솔루션 파트너)로 등록(2021.06.30 기준).
에프에스티(036810)+4.28%반도체 재료/장비 전문업체. 비메모리 반도체에 들어가는 포토마스크용 보호막인 펠리클(Pellicle)과 반도체공정중 식각공정에서 Process Chamber 내 온도조절장비인 칠러(Chiller)를 주력으로 생산. LCD용 펠리클(Pellicle) 사업도 영위.
디아이(003160)+3.77%반도체 검사장비 등 초정밀 시험장비의 제조 및 수입업을 영위. 주요제품은 반도체 검사장비. 삼성전자에 비메모리용 반도체 검사장비 공급 경험 보유.
DB하이텍(000990)+3.74%비메모리 반도체에 특화된 파운드리 업체(반도체 위탁 제조사).
에이직랜드(445090)+3.74%시스템반도체 전문 디자인하우스로, 팹리스(반도체칩 설계) 기업의 칩 설계 도면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이 생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조 공정용으로 변환해주는 사업을 영위. 국내 유일 파운드리 업체 TSMC의 가치사슬협력사(VCA).
엘디티(096870)+3.70%디스플레이용 구동IC를 생산하는 팹리스 업체. 주로 OLED 구동 IC를 생산.
자람테크놀로지(389020)+3.33%통신용 반도체 설계·제조하는 팹리스 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5G 기지국 연결에 사용되는 통신 반도체 XGSPON SoC 등. 국내 통신 3사를 비롯한 국내외 31개 고객사를 보유.
엠디바이스(226590)+3.05%SSD(Solid-state drive) 설계 및 제조업체. 기업용 SSD, 소비자용 SSD, BGA(Ball Grid Array) SSD 등 SSD 관련 사업을 영위.
퀄리타스반도체(432720)+3.02%반도체 설계자산(IP) 개발 전문기업으로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라이센싱 및 디자인 서비스 사업을 영위. 데이터 전송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터페이스 IP의 핵심 부품인 서데스(SERDES) 생산 기술을 보유.
동운아나텍(094170)+2.92%스마트폰용 시스템반도체 팹리스 업체.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용 AF(자동 초점)칩 등을 생산. 주로 삼성전자, LG전자, 하웨이, 오포, 샤오미 등에 공급.
알파홀딩스(117670)+2.88%시스템 반도체 개발 업체. 삼성전자와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DPS)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또한 SK텔레콤과 5G AI 반도체 개발협력 체결. 이에 따라 자율주행 등 차세대 모빌리티의 핵심 기술(LiDAR) 상용화에 필요한 시스템반도체 관련 기술을 제공하고 양산화 협력 중.
두산테스나(131970)+2.80%시스템 반도체 중 CIS(이미지센서),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의 웨이퍼 테스트를 담당. 최대 고객사는 삼성전자.
넥스트칩(396270)+2.77%차량용 지능형 카메라 영상처리 시스템반도체 기업. 주요 제품은 신호 처리(ISP), 실시간 영상 인식 시스템 반도체(ADAS), 자동차에서 아날로그 방식으로 영상을 전송하는(AHD) 등.
네패스(033640)+2.72%반도체 후공정 및 IT부품소재 전문업체. 반도체사업, 전자재료사업, 디스플레이사업 등을 영위. 비메모리 후공정 및 Fan-out WLP(FOWLP) 기술을 보유.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등.
앤씨앤(092600)+2.64%영상보안장비에 특화된 멀티미디어 팹리스 업체. CCTV 카메라와 DVR과 같은 영상보안기기의 영상처리 반도체를 주로 생산.
어보브반도체(102120)+2.60%비메모리 반도체 중 주로 가전/전기 제품의 두뇌역할을 하는 반도체 칩(MCU) 팹리스 업체. 주력제품인 MCU는 소형 가전, 전기·전자제품에 적용 중. 주요 고객으로 삼성전자, LG전자, 위니아대우 등.
픽셀플러스(087600)+2.51%CMOS 이미지센서(CIS)를 주력으로 공급하는 팹리스 업체. 주요 제품은 자동차·보안 카메라용 등의 이미지센서.
LB세미콘(061970)+2.48%비메모리 반도체에 속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DDI 및 광반도체인 CIS등에 대한 플립칩 범핑 및 관련 테스트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반도체 후공정 전문 기업.
시지트로닉스(429270)+2.36%비메모리반도체 중 실리콘(Si) 소재를 이용한 광소자, 개별소자 개발 및 생산업체. 신규 사업으로 화합물반도체 소재인 질화갈륨(GaN)을 사용한 전력반도체 소자를 연구개발 중.
서플러스글로벌(140070)+2.26%반도체 전공정, 후공정 중고 장비 등을 매입해 고객의 요구에 맞게 개조·업그레이드하여 재판매하는 반도체 리퍼비시(Refurbish) 사업 영위. 주로 파운드리 업체에 공급.
네패스아크(330860)+2.21%시스템 반도체 웨이퍼와 패키지 테스트 업체. 삼성전자향 PMIC(전력관리칩), DDI(디스플레이구동드라이버IC) 등에 대한 테스트 물량을 확보해 성장 중.
오픈엣지테크놀로지(394280)+2.12%AI 반도체의 구동 기반이 되는 통합 IP(설계자산) 솔루션 개발·공급. 보유 IP는 NPU(신경망처리장치), 메모리시스템 솔루션 등.
유니퀘스트(077500)+2.11%비메모리 반도체 솔루션, 모듈 유통 전문 업체로, 글로벌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로부터 국내 판권을 확보한 후 주문 제작하여 국내 IT 제조사에 공급하는 사업 영위. 자회사 에이아이매틱스(지분 50.92%)를 통해 특수차량의 자율주행 및 FMS(차량관제시스템) 사업도 영위(2021.06.30 기준).
고영(098460)+2.06%3차원 정밀 측정 검사 기술을 보유한 반도체 생산용 검사장비 업체. 주요 제품으로 3D SPI 장비와 3D AOI 장비 등.
에이엘티(172670)+1.98%비메모리 반도체 후공정의 테스트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비메모리반도체 중에서 Display Drive IC, CMOS 이미지센서, Power Management IC 등 고난이도 제품의 테스트를 진행.
하나마이크론(067310)+1.71%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에서 분사한 반도체(메모리/비메모리) 패키징 전문 업체. 반도체 산업의 후공정 분야인 반도체 조립 및 TEST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 비메모리 반도체의 필수 기술인 플렉시블 패키징 기술 보유. 비메모리 패키징 주력 품목은 스마트폰용 지문인식센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주요 거래처.
유니테스트(086390)+1.62%반도체 검사 장비를 전문으로 개발 및 생산하는 업체. 메모리 모듈 테스터 및 메모리 컴포넌트 테스터, 번인테스터 등의 제품 생산 주력. 자회사 '테스티안'이 비메모리 부문 전류 검사(전기적 성능 검사) 장비 및 소모품 제조.
아이텍(119830)+1.56%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하우스로서 시스템 반도체 생산의 마지막 공정인 테스트를 담당.
아이에이(038880)+1.35%비메모리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자동차 전장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중. 현대/기아차, 현대모비스, 현대오트론 등과 자동차용 비메모리 반도체 국산화 개발 진행중. 이 외에도 멀티미디어 통신 및 ASIC(주문형반도체설계) 분야와 관련된 사업 영위중.
칩스앤미디어(094360)+1.31%비디오 반도체 설계자산(IP) 전문 업체. 주로 팹리스(반도체 칩 설계) 업체에 공급. 매출 구조는 신규 IP 계약에 따른 라이선스와 공급한 IP가 탑재된 반도체 칩이 판매될 때 발생하는 로열티.
에이디테크놀로지(200710)+1.25%디자인 하우스 업체로, 2019년 글로벌 파운드리 업체인 TSMC와 VCA(가치사슬협력자) 계약을 해지하고 삼성전자 파운드리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DPS)로 진입.
시그네틱스(033170)+1.13%영풍그룹 계열의 반도체 패키징 전문 업체. 2012년부터 비메모리 패키징 사업에 집중. 비메모리 패키징 주력 품목은 스마트폰용 지문인식센서. 고객사는 삼성전자 IM사업부로 주로 갤럭시A와 J시리즈 등 중저가 스마트폰에 필요한 지문인식센서를 패키징. 이외 냉장고와 TV, 셋톱박스용 비메모리도 취급.
텔레칩스(054450)+1.12%차량에 탑재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반도체 설계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팹리스 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DMP(스마트 기기에 적용되는 AP 등), 모바일 TV 수신칩 등.
사피엔반도체(452430)+1.11%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구동 시스템 반도체(LEDoS DDIC) 전문기업. 마이크로-LED, 미니-LED 패널 타입의 초대형·대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DDIC 칩셋과 초소형 디스플레이 엔진용 Micro-LED CMOS Backplane 제품군을 전문적으로 설계 및 제작.
LX세미콘(108320)+0.93%평판 디스플레이용 시스템 반도체 팹리스 업체. 주요 제품은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핵심 부품인 패널 구동 IC와 Data 신호전달 및 제어 부품(T-CoN), 전원관리IC(PMIC) 등.
케이알엠(093640)+0.68%MCU칩 개발사. 주요 매출품목은 라디오수신칩 62%, 음원재생칩 38%.
아나패스(123860)+0.63%비메모리 반도체인 주문형 반도체(ASIC)를 주력으로 공급하는 팹리스 업체. 주력제품으로 타이밍콘트롤러(T-con) 생산. 주 매출처로는 삼성디스플레이, SEC 등.
파두(440110)+0.09%데이터센터에 특화된 시스템 반도체 팹리스 기업. 핵심제품은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되는 SSD 컨트롤러.
아이언디바이스(464500)0.00%혼성신호 SoC(System-on-Chip) 반도체 기획·설계 및 제조·판매. 대표 제품으로는 스마트파워앰프, 디스플레이사운드앰프 등.
에이디칩스(054630)0.00%반도체 설계 및 비메모리 반도체 판매 업체. EISC MCU Core IP 라이센싱 사업과 ASSP 개발/판매 및 이를 이용한 보드/시스템 개발 판매, 반도체 유통 사업 영위.
아이씨티케이(456010)-0.25%복제방지기능(PUF) 기반 보안칩을 상용화한 보안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 세계 최초로 차세대 'PUF(Physically Unclosable Function)' 기술과 PQC(Post-Quntum Cryptography) 기술을 적용한 보안 칩을 양산 및 상용화.
SFA반도체(036540)-0.66%반도체 조립 및 테스트, 메모리카드, 기타 디지털 응용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후공정 전문업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의 반도체 업체들의 메모리와 비메모리 반도체 조립 및 패키징을 담당. Low level 비메모리 반도체도 생산.
오디텍(080520)-1.00%반도체제조공정(FAB)을 바탕으로 비메모리반도체 Chip과 센서 및 센서모듈, 시스템의 수직계열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 삼성전자, LG이노텍, 서울반도체, 루멘스 등이 주요 매출처.
지니틱스(303030)-1.25%스마트폰 터치컨트롤러 IC, AF Driver(자동초점) IC칩 등의 시스템반도체를 개발.

시스템반도체 (비메모리 반도체)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3.34%
1개월 등락률 -6.33%
1주 등락률 -7.15%

[이 컨텐츠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봇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