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올 1분기 3조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거둬, 역대 1분기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삼성SDI는 27일 올해 1분기 매출이 2조9632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23.59% 늘었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133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46.74%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1500억원으로 전년 같은기간과 비교해 무려 200배 이상(2만477.91%) 늘어났다. 다만 직전 분기인 2020년 4분기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8.86%, 45.91% 줄었다. 회사 관계자는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배터리 사업을 맡고 있는 에너지 부문이 매출 2조3870억원을 올렸다. 작년 1분기에 비해 32.9% 증가했다. 그러나 직전 분기와 비교해서는 9.2% 감소했다. 회사는 중대형 배터리 중 자동차 배터리는 계절적인 요인으로 전 분기보다 판매가 감소했고,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역시 국내 재생에너지공급량(REC) 가중치 일몰 영향으로 매출이 줄었다고 밝혔다.
소형 배터리는 원형 배터리 사업에서 무선 전동공구용 판매가 늘어나면서 전 분기 수준의 매출을 유지했지만, 파우치의 경우 해외 고객 판매 약세로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재료 부문은 1분기 매출이 5762억원으로 나타나, 전년동기 대비 4.3%, 전분기 대비 7.4% 각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도체 소재는 매출이 증가했고, 편광필름도 대형 TV 수요 호조 속 전부기 수준의 매출이 이어졌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의 매출이 감소한 영향을 받았다.
삼성SDI는 2분기 전 사업 부문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봤다. 특히 중대형 배터리는 유럽 시장 자동차용 배터리 판매가 확대되고, 미주 전력용 ESS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소형, 원형, 파우치 배터리도 성수기 진입과 신규 전기차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공급이 증가할 것으로 삼성SDI는 예상했다.
전자재료 부문 역시 편광 필름과 OLED 소재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는 한편, 반도체 소재 부문도 주요 고객의 웨이퍼 투입량이 늘어남에 따라 호성적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