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법안을 연이어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기업도 이를 EU 시장 진출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브뤼셀지부가 27일 발표한 ‘EU의 ESG 관련 입법 동향과 시사점’에 따르면 EU는 ‘지속가능성 원칙’을 기반으로 기업의무를 강화하는 ESG정책을 수립, 법제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표적으로 ▲금융기관 투자상품의 지속가능성 정보공개를 의무화한 ‘지속가능금융공시 규정(SFDR)’ ▲기업활동의 사회·환경 영향을 비재무제표로 공개하는 ‘비재무정보보고 지침(NFRD)’ ▲환경 영역에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을 정의하고 판단기준을 제시하는 ‘분류체계 규정(Taxonomy)’ ▲기업에 공급망 전체의 환경·인권보호 현황에 대한 실사의무를 부여하는 ‘공급망 실사제도(Due diligence)’ 등이 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EU내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비재무적공시와 공급망의 환경·인권보호 감독에 대한 자체 규정 수립했다. 나아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공급망 기업의 ESG 정보 추적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해 ESG 법제화에 대비하고 있다. ESG 준수를 경쟁기업과의 차별화 전략으로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급망 실사제도가 시행될 경우 환경, 인권 등에 대한 실사가 가능한 만큼 EU의 표준을 준수할 수 있는 기업을 중심으로 밸류체인(가치사슬)이 재편될 전망이다.
무역협회는 ESG 법제화가 EU 시장의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한국 기업이 ESG 규정을 준수하는 경영활동과 관련 입증 시스템을 마련한하면 중국에 편중되어 있던 EU의 공급망에 참여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조빛나 무역협회 브뤼셀지부장은 "EU로 진출하려는 우리 기업은 ESG 이슈를 규제가 아닌 사업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면서 "EU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지속가능성’에 주목하고 구체적인 법제화를 통해 이를 현실화하고 있어 우리기업도 EU의 환경, 유해물질, 노동기준 등의 부합여부를 파악하고 데이터를 구축하며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