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선 "부유한 소수 국가들의 코로나 백신 독점 심화" 지적
이미 충분한 백신 보유한 美, 남는 물량은 동맹국에 분배

미국 전체 인구의 약 20%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다른 국가들의 경우 미국이 달성한 20% 수준의 백신 접종을 올해가 끝나는 시점까지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국가간 백신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WP는 이날 미국 국민 약 6600만명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마치는 등 백신 공급 속도를 높여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이는 미국에게는 좋은 소식이지만 반대로 세계 각국에서는 백신 수급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며 '백신 강국'과 빈곤국 사이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기다리는 시민들 모습.

옥스퍼드대학의 자료전문 사이트 ‘아워인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 세계 백신 접종의 56%는 전 세계 인구의 16%에 불과한 고소득 국가에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29개 저소득 국가는 접종률이 0.1%에 불과했고, 30개 국가는 단 한 사람도 백신을 맞지 못했다.

WP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원하는 국제 백신협력프로그램 '코백스(COVAX) 퍼실리티'는 2021년 말까지 참가국 인구의 20%까지 접종할 수 있는 충분한 백신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 보인다"며 전문가들의 의견을 인용했다.

미국 시민단체 관계자인 자인 리즈비는 WP와 인터뷰에서 "(이같은 백신 양극화는) 비양심적인 일"이라며 "결과적으로는 미국과 가까이 있는 나라에게만 더 많은 백신이 공급되는 행운이 따르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가간 백신 확보 경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현재까지는 부유한 소수의 국가들이 백신을 독점하는 현상이 여전한 상황이다. 지난 7일 기준으로 미국을 비롯해 영국, 이스라엘 등의 국가가 빠른 속도로 백신 접종을 늘려나가고 있지만, 다른 다부분의 국가의 경우 이제 겨우 백신 공급을 시작했거나 아직 시작조차 못한 국가들도 많다.

이같은 비판을 의식한듯 바이든 행정부도 전 세계 백신 지원 업무를 담당할 백신외교 책임자를 임명하는 등 인도적 행보를 보이기 시작했다. 자국 접종에 필요한 백신은 이미 충분히 확보했기 때문에 저개발국 등에 백신을 지원해 공격적인 백신 외교를 펼치는 중국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백신 외교는) 생명을 구하는 일에 관한 것"이라며 "동맹국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하겠다. 과다한 약속을 하지도, 기대에 못 미치지도 않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다른 국가를 돕기 위한 백신에 대해서는 높은 기준을 유지할 것"이라며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입증된 백신만을 공급하고 공정한 배분 방식을 택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