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가 진행 중인 이스타항공이 곧 공개입찰 방식으로 매각 절차를 진행한다. 당초 인수자를 미리 정한 뒤 경쟁입찰을 붙이는 '스토킹 호스' 방식이 거론됐지만 적당한 인수자를 찾지 못해 공개입찰로 전환된 것이다.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무소속 이상직 의원의 횡령·배임 등 혐의를 수사 중인 검찰이 서울·부산시장 재보궐 선거 이후 구속영장을 청구할 가능성이 커 원매자들이 적지 않은 부담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 회생절차를 진행 중인 서울회생법원은 이르면 다음주 중 이스타항공 공개매각을 위한 입찰 공고를 낸다. 이스타항공은 다음달 20일까지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뒤 자금조달 방안 등을 담은 회생계획안을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다.

서울 강서구 이스타항공 본사 사무실.

이스타항공은 스토킹 호스 방식을 통해 매각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스토킹 호스 방식은 사전에 예비 인수자를 선정해 놓고 매각을 추진하는 방식이다.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인수 후보자가 나오면 기존 예비 인수자와의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법원은 이스타항공이 예비 인수자를 찾지 못하자 공개입찰로 매각 방식을 전환했다. 국내 모 중소기업이 이스타항공에 인수의향서를 제출했으나 계약 조건이 맞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IB업계 관계자는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업체가 있었는데 자금조달 방안에 대한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했다.

이스타항공 측은 사모펀드와 법인 등 4~5곳의 인수 후보자가 관심을 보인다고 설명하고 있다.

다만 원매자들은 ‘이상직 리스크’ 때문에 이스타항공 인수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부산시장 재보궐 선거가 마무리되면 이 의원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 의원의 이스타항공 횡령·배임 등 혐의를 수사 중인 전주지검 수사팀은 지난달 대검에 이 의원의 구속영장을 청구하겠다고 보고했다. 대검은 이 의원의 구속 여부를 재보궐선거 이후로 보류한 것으로 전해진다. 검찰이 이 의원의 구속 수사를 추진하는 것은 그만큼 혐의 입증을 자신했다는 의미로 보인다.

또 3000억원에 달하는 부채와 최우선 변제 대상인 임직원 임금과 각종 세금도 부담이다. IB업계에서는 채권자들이 채무를 일부 탕감해줘도 회사 정상화를 위해 유상증자 등 최소 2000억~3000억원의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