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대만을 상대로 군사행동에 나설 경우를 가정한 워게임에서 미국이 자주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NBC는 27일(현지 시각) 미 싱크탱크 랜드연구소에서 국방부의 워게임 시행을 지원하는 데이비드 오크매넥 선임 연구원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오크매넥은 워게임 결과가 매번 "정신을 번쩍 들게 한다"며 "워게임은 대부분 대만 공군이 몇 분 만에 파괴되는 것으로 끝이 난다. 태평양 지역의 미 공군기지들이 공격을 받고,미국의 전함과 전투기는 중국의 미사일로 저지된다"고 했다.
그는 또 "미국이 단호히 개입할 때도 비슷한 상황이 펼쳐진다"며 "중국의 침공을 막아내는 데 항상 성공하지는 못한다"고 했다.
NBC는 이러한 워게임 결과가 중국의 군사력 증강이 이미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대만이 ‘잠재적 화약고’로 떠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 당국자들과 전문가들을 인용해 "중국이 대만을 예속시키는 데 성공할 경우, 미국의 동맹에 충격파를 던지고 아시아의 다른 민주 정부에 미국을 믿어도 되는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불과 20년 전만 해도 중국이 대만해협에서 미국의 군사력에 도전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지만 전함과 전투기, 순항·탄도미사일 등에 지속적으로 투자한 결과 미국의 우위를 위협할 정도로 군사력을 키우는 데 성공했다는 분석이다.
앞서 필립 데이비슨 미 인도태평양사령부 사령관은 지난 9일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중국이 6년 이내에 대만을 상대로 군사행동에 나설 가능성을 경고한 바 있다. 중국은 이후 지난 26일 역대 최대 규모인 군용기 20대를 동원해 대만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