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 공격한 해커, 백신 데이터도 불법 접근
전면적 조사 착수...구체적 내용은 언급 안 해
"백신 후보물질 검토 일정에 영향 안 미칠 것"
유럽의약품청(EMA)이 신원을 알 수 없는 해커에 의해 사이버공격을 받았고 이 과정에서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유럽연합(EU)에 제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후보 관련 자료에 대해서도 불법적인 접근이 이뤄졌다고 BBC와 AFP 등이 9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EMA는 이날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한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법 집행 기관 등 관련 단체와 긴밀히 협력해 해킹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에 착수했다"고 했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EMA는 유럽연합(EU) 내 의약품 및 백신 평가, 승인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이번 코로나19 백신 승인 절차를 책임진다. 이 기관은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세부 내용을 공개할 수 없으며 적절한 시기에 추가 정보를 밝히겠다"고만 했다. 다만 로이터는 사이버 공격의 시기와 방법은 물론 백신에 대한 영향 여부도 불분명한 상태라고 전했다.
일단 화이자는 자사 시스템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화이자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화이자나 바이오엔테크의 시스템은 침입당한 적이 없으며, 어떠한 개인적 데이터에도 불법적 접근이 이뤄졌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고 했다.
바이오엔테크는 같은 날 홈페이지에 성명을 내고 "오늘 EMA가 사이버 공격의 대상이 됐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EMA 서버에 보관된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의 코로나19 백신 후보에 대해서도 불법적인 접근이 이뤄졌다고 들었다"고 했다. 다만 "EMA는 어떠한 사이버 공격도 백신 검토 일정에 영향을 미치 않을 것임을 장담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보건의료 기관을 상대로 한 사이버 공격 시도가 크게 증가했다고 러나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보건, 의료 기관을 상대로 한 해킹 시도가 증가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