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브리핑은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법무부 장관이 검찰총장에 대해 징계를 청구하고 직무정지를 명령하는 헌정 사상 초유의 일을 발표하겠다고 했지만, 추 장관을 제외한 법무부 관계자들도 자세한 상황을 몰라 우왕좌왕하는 모습이었다.

법무부가 추 장관의 브리핑 사실을 기자들에 알린 건 이날 오후 5시 30분쯤이었다. 브리핑을 불과 30여분 앞두고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열겠다고 한 것이다. 처음에는 서울고검 2층에 있는 법무부 의정관실에서 브리핑을 하기로 했지만, 공간이 협소하다고 판단하고 브리핑 장소를 서울고검 1층에 있는 기자실로 옮겼다. 이에 의정관에 모인 기자 30여명이 한꺼번에 자리를 옮기면서 혼란을 빚기도 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

고검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하다보니 추 장관이 서게 될 연단 뒤편에 '검찰' 마크가 그려져 있어서 법무부 관계자들이 급하게 화이트 스크린으로 검찰 마크를 가리는 촌극도 벌어졌다.

추 장관은 브리핑 예정 시간보다 늦은 오후 6시 4분쯤 기자실에 도착했다. 갑자기 일방적으로 브리핑을 통보한 사실에 대해 기자들이 강력하게 항의하자 추 장관이 "양해의 말씀을 드리겠다"며 사과를 하고서야 브리핑이 시작됐다.

추 장관은 20여분에 걸쳐서 미리 준비한 원고를 읽어나갔다. 추 장관이 준비한 원고를 다 읽자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졌지만, 추 장관은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 서둘러 기자실을 빠져나갔다. 일각에선 "(장관 말대로라면) 중범죄인데 해임 건의를 해야 하지 않느냐"는 질문도 나왔지만 추 장관은 묵묵부답이었다.

이 과정에서 다시 한 번 기자들의 항의가 이어졌다. 준비한 원고를 읽기만 하고 기자의 질문을 받지 않을거면 페이스북에나 올리지 뭐하러 기자들을 모았냐는 소리도 나왔다.

추 장관의 브리핑은 이날 오후 늦게 갑자기 결정됐다. 법무부 대변인실에서도 구체적인 발표내용을 확인하지 못해 기자들의 질문에 제대로 답을 하지 못했다. 징계를 청구한 대상이 어디인지에 대한 단순한 사실을 확인하는데도 오랜 시간이 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