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평가된 주식을 사는 가치 투자로 유명한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3분기에 코로나 백신을 개발중인 화이자 등 4개 제약주에 57억달러(6조3000억원)를 투자했다.
16일(현지시각)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미국 증권감독기관에 신고한 보고서를 토대로 이렇게 전했다.
버핏은 3분기에 코로나 백신을 개발중인 미국 제약사 화이자 주식을 370만주 매입했다. 이 회사는 지난주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개발중인 코로나 백신의 예방 효과가 90%에 이른다고 발표해 글로벌 증시 상승을 주도했다.
버핏은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독일 화학·제약사 머크(Merck) 주식 2240만주를 비롯해 미국 바이오 제약사 애브비(AbbVie) 2130만주, 암·당뇨병 등의 의약품을 만드는 미국 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ristol-Myers Squibb) 3000만주도 매입했다.
매입 지분율이 0~1%대에 불과하지만 버핏이 최근 몇년 간 헬스케어 종목 투자에 소극적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헬스케어 투자 규모는 두배로 늘어나 93억달러(10조3000억원)가 됐다. 전체 주식 투자 규모 2450억달러(271조3000억원)의 3.8%다.
그동안 버크셔 해서웨이는 바이오젠(Biogen),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테바(Teva Pharmaceuticals), 다비타(DaVita) 등에 투자했다.
지난 1분기 은행주를 대거 매도해 화제가 된 버크셔 해서웨이는 3분기에 은행주 가운데 유일하게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지분율을 늘렸다고 밝혔다. 반면 애플 주식은 일부 매도하고, 오래 투자해왔던 창고형 할인점 코스트코 지분은 전부 팔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