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아시아 지역의 경제성장률을 4개월 사이에 1.6% 하향 조정하면서 당초 예상보다 더 느리게 경제 회복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21일(현지 시각) 미 CNBC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아시아태평양 지역 지역경제전망' 보고서에서 IMF는 가장 최신 정보를 반영한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향후 경제 회복 추세를 분석한 내용을 공개했다.
IMF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아시아 지역은 전체적으로 -2.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국가들이 2020년 회계연도(내년 3월)까지 국내총생산(GDP)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인도의 경우 GDP 성장률이 지난 6월 발표된 수치에서 4.5% 하향된 -10.3%, 필리핀은 3.6% 하향된 -8.3%, 말레이시아는 3.8% 하향된 -6%로 조정되는 등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봉쇄조치의 영향을 받은 점이 새롭게 반영됐다.
반면 중국은 예상 밖의 회복세를 보이면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지난 6월 발표된 통계에서 0.9% 상향 조정된 1.9%로 수정됐다. 6월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던 대만은 지난 4월 공개된 보고서에서 무려 4.1%나 상향된 0.0%로 수정됐다.
IMF는 "중국의 경우 사회기반시설 및 부동산 투자, 전자기기 매출 확대 덕분에 빠르게 회복했다"며 2021년에는 중국의 GDP가 8.2%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 또한 지난 6월 통계에서 0.5% 상향 조정된 -5.3%를 기록했지만, 이는 지난 4월 발표된 수치에 비하면 0.1% 하락한 모습이다.
IMF가 이달 초 공개한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전세계 GDP 전망을 상향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아시아 지역의 경기 침체 수준은 예상보다 심각한 것으로 보인다. IMF는 지난 6월 전세계 GDP 성장률을 -5.2%로 예상했으나 이번달 수정 보고서를 통해 -4.4%로 정정했다.
한국의 GDP 성장률은 지난 6월 통계에서는 -2.1%를 기록하다가 소폭 상향 조정되어 -1.9%로 수정됐다. 다만 이는 지난 4월 결과에서 0.7% 하향 조정된 것이기도 하다.
IMF는 한국의 내년 GDP 성장률은 약 2.9%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